실용신안연구회 01 02 09 08 07 06 한국환경산업협회 05 04 03 국립환경과학원

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03
since 2016.03.23
RSS Feed RSS Feed

환경기술 동향

게시판상세

플라스틱 생산부터 생분해까지 친환경기술 소개

글쓴이 조민환 작성일 2023.12.13 22:30 조회수 227 추천 0

KAIST, 플라스틱 생산부터 생분해까지 친환경기술 소개

 

입력 : 2023-12-11 07:43:18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국제 논문에 ‘미생물 이용한 플라스틱 생산·분해 기술 개요·동향’ 소개
플라스틱 순환경제 달성 위한 핵심기술로 ‘미생물 이용한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분해 기술’ 제시

 

 

(왼쪽부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최소영 연구교수, 이영준 박사(공동 1저자). KAIST 제공

(왼쪽부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최소영 연구교수, 이영준 박사(공동 1저자). KAIST 제공

 

 

플라스틱은 연간 약 4억 6000만t(톤)이 생산되며, 2060년에는 약 12억 3000만t이 생산될 것으로 예측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소재 중 하나다. 하지만 1950년부터 63억t 이상의 막대한 양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했고, 이 중 1억 4000만t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수중 환경에 축적된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에는 미세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까지 대두되어 해양 생태계 및 인간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지구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양 플랑크톤의 활동을 저해해 지구 온난화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미생물을 활용해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폐플라스틱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최신 기술을 총망라한 ‘미생물을 이용한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생산 및 분해’ 논문을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그림. 미생물 활용 기술을 포함한 플라스틱 라이프 사이클. KAIST 제공

그림. 미생물 활용 기술을 포함한 플라스틱 라이프 사이클. KAIST 제공

 

 

이러한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으로 유엔을 중심으로 2024년까지 175개국이 참여해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목표로 법적 협약을 체결하기로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지속 가능한 플라스틱 생산·처리를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중 미생물을 이용한 생명공학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미생물은 자연적으로 특정 화합물을 생산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이러한 능력을 대사공학 및 효소공학 기술과 같은 생명공학 기술을 통해 극대화함으로써 화석원료 대신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부터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폐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생산과 분해에 관한 미생물 기반의 최신 기술들을 총망라하여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분석했고, 이를 토대로 기술들의 한계점, 전망 및 연구 방향을 제시해 플라스틱 순환경제 달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공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과 같은 합성 플라스틱부터 자연환경에서 완전히 생분해되어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우려가 없는 미생물 유래 천연 고분자(polyhydroxyalkanoate, PHA) 등의 유망 바이오 플라스틱까지 다양한 플라스틱에 대한 미생물 기반 기술의 상용화 현황 및 최신 기술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들을 미생물과 미생물이 가진 효소를 이용해 분해하는 기술과 분해 후 다른 유용화합물로 전환하는 업사이클링 기술도 소개해 미생물을 이용한 기술의 경쟁력 및 잠재력을 조명했다.

 

이번 논문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Nature Microbiology) 온라인판에 지난달 30일 게재됐다. (논문명: Sustainable production and degradation of plastics using microbes)

 

한편,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석유대체 친환경 화학기술개발사업의 바이오화학산업 선도를 위한 차세대 바이오리파이너리 원천기술 개발 과제 및 미생물 세포공장 기반 신규 방향족 바이오플라스틱의 원스텝-원팟 생산 원천기술 개발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출처: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121107364000037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