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5291
since 2005.08.30
RSS Feed RSS Feed

주요뉴스

게시판상세

애플, 눈에 안보이는 정보 전송 ‘인비저블 디스플레이’ 특허 출원

글쓴이 유진태 작성일 2015.05.08 16:34 조회수 2038 추천 0

애플이 미래의 아이폰 디스플레이에 ‘비가시 정보’(인비저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특허를 출원했다.

이 기술은 사용자에게는 무의미할 수 있는 바코드나 보안정보, QR코드 등 기계 판독 가능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아이폰이 언젠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갖게 된다는 말로, 하나는 사용자가 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숨겨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밑에 끼워 넣는다는 것이다.

미국 IT매체 애플 인사이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의한 비가시 광선 전송 집합체’(Invisible Light Transmission via a Display Assembly)라는 명칭으로 나온 이 개념은 이번 주 애플의 특허 출원서에서 확인됐다.

 

특허 출원서에 따르면 이 멀티 디스플레이의 개념은 우리 눈에 보이는 정보와 보이지 않는 정보 사이에서 빠르게 전환하는 픽셀을 가진 단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작동하는 것이다.

애플은 이 기술이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이하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는 관련된 가시 정보를 제공하지만, 숨겨진 코드는 바코드 판독 시 사용하는 체크아웃 스캐너와 같은 장치에 쓰일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이 특허는 비가시광선을 비추어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밝힐 수도 있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높일 필요 없이 얼굴 인식 앱을 실행하는 것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허는 발명자 브라이언 쉐들, 에산 파콘데, 신 존 최가 출원했다.

애플은 또 올해 초 클라우드(가상 저장 공간)에 지문을 저장할 수 있는 특허도 출원했다. 이는 향후 생체인식 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을 온라인상에 저장하면 어떤 애플 장치에서도 터치ID를 통해 계정에 접속하고 애플페이 같은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장점은 사용자가 자신의 지문을 ‘성가시게’ 여러 장치에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잠재적으로 더 쉽게 해킹당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해커는 지문 파일을 얻어도 사용에 있어 제한적이지만, 지난해 한 보안 연구팀은 위험성 강조를 위해 고해상도 사진을 사용해 실제 지문을 재현하기도 했다.

 

서울신문 원문보기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