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1ltotal 3481
since 2005.08.31
RSS Feed RSS Feed

게시판

게시판상세

성덕대왕 신종 명문 속 발명자 존중의 문화유산

글쓴이 관리자 작성일 2011.06.22 00:00 조회수 2097 추천 0

본문보기


일명 ‘에밀레 종’으로도 불리우는 성덕대왕신종, 이 종은 소리가 하늘 방향으로만 울려 퍼지는 서양의 종이나 지상으로만 퍼지는 중국의 종에 비해, 하늘과 땅 그리고 지상에 함께 울린다는 천지인(天地人) 음향으로 유명하다. 완성된 지 1240년이 지난 지금도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고 있는 종이라고 하면 당연 이 종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 실제 이 종을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국보 제29호인 성덕대왕신종의 명문(銘文, 새겨진 글씨)에는 1,000여 자의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여기에는 16명의 이름이 등장한다. 이 중 앞의 12명은 종에 새겨진 문장을 지은 사람과 사업을 주관한 사람들이고 나머지 4명은 실제 종을 만든 기술자들이다. 흥미로운 것은 4명의 기술자들과 함께 새겨진 12명의 이름 안에 당대 최고 권력자는 물론 이후 왕까지 된 사람도 있다는 점이다. 계급사회였던 통일신라시대에 신분이 낮은 기술자가 역사에 남을만한 큰 종을 만들고 그들의 이름이 권력자들의 이름과 함께 새겨진다고 했으니 얼마나 자랑스러웠을까?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밤낮을 가리지 않고 혼신의 힘을 다하도록 하는 자극제가 되었을 것임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이 있다. 인재(人才)전쟁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이 시대의 기술자에게 있어 이름이 알려진다는 것은 개인적인 자부심인 동시에 무엇보다 그의 몸값을 엄청나게 상승시켜줄 기회가 될 것임이 틀림없다. 기술자로서 이름을 알릴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기술개발에 참여하여 발명을 완성한 기술자는 특허출원서에 발명자로서 게재되어 널리 알려질 수 있게 되는 권리를 갖게 되는데 이는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고유한 권리이다. 그럼에도, 특허출원을 할 때 실질적으로 발명에 기여한 사람이 발명자에서 배제되거나 진정한 발명자가 아닌 관리자나 상급자가 공동발명자로 기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이 우리 기업 문화의 현실이다. 지난해 12월 서울중앙지법의 한 연구회에서는 특허원부에 공동발명자가 너무 많다는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다. 이는 발명에 전혀 기여하지 않은 발명자들로 인해 진정한 발명자의 기술개발 성과가 희석됨으로써 진정한 발명자의 게재권이 손상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점 때문에 특허청에서도 진정한 발명자를 보호하기 위한 발명자 확인 제도에 관해 연구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발명자 게재권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실천하는 사회 전반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발명자를 존중하는 문화의 정착이 공정한 사회로 나아가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 출발선 상에 발명자 게재권에 대한 인식 제고가 자리잡고 있음은 분명하다. 성덕대왕신종이 완성된 지 1240년이 지난 지금, 이 종이 더욱 빛나 보이는 것은 통일신라의 뿌리 깊은 신분질서 속에서도 기술자를 존중하고 그들의 권리를 찾아주고자 했던 성숙한 문화유산이 명문(銘文)으로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전다음글목록
이전글 이전글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중요성
다음글 다음글 실기한 공격방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