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37
since 2007.04.30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연재16회> 비특허문헌 서비스 현황

글쓴이 이범철 작성일 2009.11.26 00:00 조회수 2522 추천 0 스크랩 0
&#61601; &#61601; &#61601; 도서관 자문서비스 도서관 자문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중요한 안건이 되는 운영지침, 관리방향, 서비스 내용, 조직개편 등에 대해 전문적인 조언 서비스를 제공한다. &#61601; 지역센터 운영 지역센터로 nrc 정보센터를 운영한다. nrc 정보센터는 nrc의 연구소, 기술이전 촉진 프로그램인 nrc의 산업연구보조 프로그램과 공조를 통해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술정보, 문헌검색, 특허관련 정보, 기업 및 시장 정보, 타 회사 상품 정보 등도 제공한다. 1.1.1.1. 장서개발전략 수집대상은 포괄적인 주제 분야로 여러 전문 분야에 걸친 stm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과학, 기술, 의학 분야의 정보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광범위한 범위에서 특정 주제 분야는 캐나다 정부 도서관의 수집 정책 소관인 경우 배제한다. 현재 cisti는 캐나다 농업도서관과 문헌제공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캐나다 농업 도서관은 캐나다의 식품 및 농업학에 관한 중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기관으로 cisti의 장서 수집과 중복되지 않는다. 이밖에도 cisti는 stm 관련 기관의 전략적 우선 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stm과 관련한 특정 분야의 정보, 예를 들어 상업화, 혁신 및 기술 이전과 같은 비즈니스 정보와 캐나다 보건 기관을 지원하는 의료정보 등도 포함한다. 자료유형과 관련하여 인쇄물과 전자매체를 선호하는데 반하여, 마이크로포맷과 신뢰성 및 보존용의 부적합으로인해 비디오테이프, dvd, cd 자료를 수집하지 않는 점을 특징으로 들수 있다 1.1.1.2. 향후 방향 &#61601; 2005-2010 cisti 전략 cisti는 급변하는 환경 변화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stm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2005-2010 전략 계획을 수립하였다. cisti, cisti strategic plan 2005.2010 : exploiting information for innovation, february 2003. 이 전략 계획은 stm정보서비스 리더기관으로서의 cisti가 미래의 stm 정보 환경을 어떻게 조성해야하는지에 대해 180명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작성되었으며, 이 전략계획에 의해 정의된 cisti 비전과 사명, 그리고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비전 : 과학기술정보를 이용한 가치 창출 극대화를 선도하는 기관 - 사명 : stm 분야의 고부가가치 정보 서비스 및 출판서비스를 통해 연구 및 혁신의 진보에 기여 - 산출물 : 연구와 혁신을 강화할 수 있는 건실하고 효율적인 정보의 흐름체계 목표 1 : 캐나다의 연구와 혁신에 기여하는 통합적·지속적인 정보 접근성 제공 목표 2 : 연구자와 기업이 혁신적인 과학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식을 발전시키고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 목표 3 : 캐나다 전역에 있는 stm 정보커뮤니티가 국가 성장동력이 되도록 선도 목표 4 : 힘있는 기관으로 성장방향성으로는 지속적인 접근성, 디지털 stm정보에 대한 접근 보장, stm 커뮤니티와의 연계, stm정보 리더쉽, 캐나다 과학인포스트럭처의 구축 1.1.1. 중국과학원 국가과학도서관 1.1.1.1. 개요/조직(도) 중국과학원 국가과학도서관(中&#22269;科&#23398;院&#22269;家科&#23398;&#22270;&#20070;&#39302;)은 2006년 3월 중국과학원(中&#22269;科&#23398;院) 소속 문헌정보센터(文&#29486;情&#25253;中心), 자원환경과학정보센터(源&#29615;境科&#23398;信息中心), 성도문헌정보센터(成都文&#29486;情&#25253;中心), 무한문헌정보센터(武&#27721;文&#29486;情&#25253;中心)의 4개 기관이 통합하여 출범하였으며 이사회의 지도로 관장(&#39302;&#38271;) 책임제를#38#20848;州), 성도(成都), 무한(武&#27721;)에 각 하나, 총 3개의 이급(2&#32423;) 법인별관으로 개설되어 있다. 또한 여러 연구소나 학교와 협력하여 특색있는 별관을 설립하였다. 현재 북경 본관 도서관에 470여명이 근무 중이며 건물 건축면적은 8만평방미터이며 고속 인터넷을 통해 편리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1.1.2. 주요연혁 - 정1950년 - 중국과학원(中&#22269;科&#23398;院)에서 도서관리처를 설립1951년 - 중국과학원도서관(中&#22269;科&#23398;院&#22270;&#20070;&#39302;)이라 정식 명명 1955년 - <중국과학원 도서관 도서 분류법도표> 편집/인쇄1957년 - 국무원(&#22269;&#21153;院) 제57회 전체회의에서 중국과학원도서관을 중국 최고 중심 도서관 위원회 구성원으로 승인1976년 - qt-11 컴퓨터 문헌검색시스템을 시험1977년 - 과학정보 연구실 설립1985년 - 중국과학원 문헌정보센터(中&#22269;科&#23398;院文&#29486;情&#25253;中心)라고 개칭, 중국과학원도서관(中&#22269;科&#23398;院&#22270;&#20070;&#39302;)이라는 명칭 보류1986년 - 도서관학, 과학기술정보학 전공 석사학위 수여권(授予權) 획득1987년 - 국제 온라인 검색 서비스 개시1993년 - aptlin프로젝트 실시(중관촌 지역 도서목록 문헌정보 공유시스템(中&#20851;村地&#21306;&#20070;目文&#29486;信息共享系&#32479;))1995년 - 인터넷 사이트 오픈2000년 - 국가 과학기술도서문헌센터(&#22269;家科技&#22270;&#20070;文&#29486;中心) 설립 사업에 참여, 국가 과학도서관의 기능 및 임무를 담당2001년 - 국가 과학디지털도서관 설립 프로젝트 시동2002년 - 신관 정식 개관 - 중국과학원 지식창조실행 프로그램 서열에 진입, 국가 과학디지털도서관 설립 프로젝트 주도, 중국과학원 문헌정보시스템을 통합하여 디지털 네트워크 과학기술 정보 집적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2006년 - 중과원국가과학도서관(中科院&#22269;家科&#23398;&#22270;&#20070;&#39302;) 설립 1.1.1.1. 1.1.1.1. 1.1.1.1. 보유장서현황 2007년 12월말까지 중국과학원에서 국가과학도서관을 통해 구입한 db는 71개이며 이 중 2007년에 원문db 10개, 사전db 4개의 총 14개 db가 추가되었다. 전체 db 가운데 중국 정부에서 구축한 db는 25개이다. &#61601; 온라인 통합 db(&#32852;机&#32852;合&#32534;目&#25968;据&#24211;) 온라인통합db는 중국과학원 소속 국가과학디지털도서관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2002년부터 정식 시작되어 2004년 5월 전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온라인통합db는 수학, 물리, 화학, 천문, 지리, 생명과학, 농업, 의학, 정보과학, 공업기술, 사회과학 등 분야를 포괄하는 대형 db이다. 온라인통합db는 4만5천종의 외국어 학술지를 수록하고 있으며 그중 일본 6,600종, 러시아 6,700종, 중국 4만종이며 중국어 및 외국어 도서도 80여만건을 담고 있다. 현재 중국과학원 국가과학디지털도서관(csdl : china science digital library)이 국가과학기술도서문헌센터(nstl)와 함께 개발한 전자 자원은 db 총 기록이 100여만건으로 중국과학원 문헌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기초 db이다. &#61601; 중국과학문헌db서비스시스템(science china) 중국과학문헌db서비스시스템은 국가과학디지털도서관의 웹 기반을 이용하여 과학문헌?로 하는 과학기술 지식서비스 체계를 목표로 한다. 또한 기관 및 개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중국어 과학기술 학술지에 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국 과학문헌db서비스시스템은 수록된 자원에 따라 다음의 3가지 층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1층위 : 현행 간행물 목차 db중국과학기술 학술지 목차, 요약 데이터는 1989년부터 작성되어 전체 량은 100만건에 이르고 매년 20만건씩 추가된다. 제2층위 : 중국과학인문(引文)db 및 학술db(5개)중국과학인문(引文)db는 1989년부터 구축되어 데이터 소스가 96만건, 인문(引文)이 400만건에 이르며 매년 데이터 소스가 15만건, 인문이 50만건씩 증가한다. 학과db는 1985년부터 구축되어 데이터 수량이 95만건이며 매년 15만건씩 늘어난다. 제3층위 : 링크 db링크 방식으로 제3자 도서목차 db, 제3자 요약 db 및 제3자 원문자료 db와 서로 연결하는 db이다. 1.1.1.1. 추진업무 및 서비스 &#61601; 문헌자원 구조화 구축(文&#29486;&#36164;源集成化建&#35774;) - 내부 연구 문헌 자원 공유 시스템 구축 - 국가 과학기술문헌 보장 시스템 구축 사업에 참여, 핵심 역할을 발휘 - 내부 문헌 정보 서비스 사이트 및 학과 정보 전문 시스템 구축 - sciencechina 서비스 및 도구시스템 구축 &#61601; 문헌서비스 및 최신정보 검색 서비스(文&#29486;服&#21153;&#19982;科技&#26597;新服&#21153;) - 내부 과학기술 문헌 전송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 국가 과학기술 문헌 정보 전송 시스템 구축 사업에 참여 - 내부 최신정보에 대한 검색 등 인증 정보 서비스 구축학과 참고 문의(컨설팅) 서비스(&#23398;科&#21442;考咨&#35810;服&#21153;) - 과학기술 연구를 위한 방문 서비스 제공 - 효과적인 참고 문의(컨설팅) 서비스 제공 - 심층적인 지식 지향적 서비스 제공과학기술문헌 정보서비스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32593;&#32476;化科技文&#29486;信息服&#21153;平台建&#35774;) - 국가 과학가술 문헌서비스 보장 시스템 구축 작업에 참여 및 기획 - 신형(新型) 문헌서비스 시스템 개발, 구조화된 자원 구축 및 서비스 지원 - 구조화된 국가과학도서관 정보 플랫폼 구축전략 정보 연구 및 서비스(&#25112;略情&#25253;&#30740;究&#19982;服&#21153;) - 과학원, 과학기술부, 기금위원회, 지방 과학기술 관리 정책 결정 부서를 지원 - 학술지 출판 및 문화 보급/선전 사업(科技期刊出版&#19982;文化&#20256;播服&#21153;) - 도서관학 정보학 전문가 육성(&#22270;&#20070;&#39302;&#23398;情&#25253;&#23398;&#19987;&#19994;&#23398;位&#25945;育) &#61601; 문헌정보 서비스 - 문헌 열람 서비스 문헌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적극 확장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방문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결합시켜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도서관은 연중무휴이며 개관시간이 매일 12시간이다. 또한 ‘검색, 열람, 대출, 수서’의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불어 1시간 이용자 양성 강좌도 개최하여 특정 단체를 위한 양성 과정 및 대학원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 과정도 실시하고 있다. - 원문자료 전송 및 도서관간 상호대차 서비스 검색, 열람, 도서 대출 등의 도서관 방문을 통한 전통적인 서비스 방식 이외에 국내외 기타 도서관과의 효과적인 협력을 통해 중국과학원 및 다른 이용자에게 풍부한 문헌자원과 편리한 원격 원문문헌 검색,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국과학원 문헌제공 및 도서관간 상호대차 시스템은 중국과학#38#20869;) 각종 도서나 국내외 도서관에 수장되어 있는 도서 문헌에 대한 검색, 열람 및 전송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국과학원 이외의 연구자에게 각종 원문 문헌에 대한 국내외 대리 검색 및 대리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대학원생을 위한 정보서비스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국과학원 대학원과 함께 ‘중국과학원 대학원 도서관’을 설립, 정보서비스를 고도화하였다. 본관과 별관에는 도서 열람,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대학원생정보교류학습실을 설치하고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을 통해 대학원생을 위한 정보교육을 강화하고 석/박사 학위논문의 온라인제출 시스템도 함께 관리한다. - 새로운 과학 정보에 대한 검색 서비스(신기술 검색) 국가과학도서관에서는 1994년부터 국가 최고의 과학기술 최신정보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신기술 조사 위탁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는 특히 물리, 화학, 지학, 생물, 환경, 정보기술 등의 분야에 해당되며 국가, 성(省), 부(部), 시(市) 및 지방의 연구 프로젝트 개설, 결과물 평가, 신제품 개발 및 신청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61601; 학술 컨설팅 서비스 국가과학도서관에서는 중국과학원의 과학자 및 경험이 풍부한 컨설턴트들이 연구 분야의 지식 및 소장자원과 인터넷 정보자원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해당 연구 분야의 문헌정보컨설팅 서비스와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도서관 관리원 양성 과정 및 과학연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이용 과정을 개설하고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 수요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61601; 디지털 문헌서비스 국가과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의 정보 획득 상황에 따라 각종 문헌정보자원의 통일 검색 및 열람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용자가 한번 인증을 받고 검색을 하면 자원 공유, 문헌 다운로드, 원문 전송 및 문의 등 전체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가 있는 기관 및 정보 구입 상황에 따라 사이트에서 신호등 방식으로 빨강, 파랑, 보라, 노랑의 4가지 색깔로 문헌자료의 획득 상황을 알려 준다. 원격 신분 인증 시스템을 통해 중국과학원 연구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면 무료로 해당 범위 내 중국어 원문, 요약 및 외국어 요약 db를 조회할 수 있다. 아울러 문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국방 과학기술 정보서비스 시스템, 국가 표준 문헌정보 시스템을 추가하여 국방정보 및 표준문헌 검색도 가능하다. &#61601; 정보 연구 및 정책 결정 정보서비스 국가과학도서관은 국가 및 중국과학원의 과학기술 전략 정책에 따라 우수한 정보연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과학기술 전략 연구 및 정책 결정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중국과학원 과학기술 창조 및 발전 계획과 결합하여 중요 문제에 대한 정보를 연구하기 위하여 기초과학, 나노기술, 현대농업 기술, 지구과학, 에너지기술, 선진 제조기술, 정보기술, 생물공학 기술, 자원 환경 기술, 인구 건강 및 의약, 과학시술 정책, 과학기술 평가 등 여러 영역에 있어 전략정보 연구팀을 구성한다. 현재, 심도있는 분석과 그 수요에 따라 일련의 전략 정보 연구가 수행되었고 대표적으로 ‘국제 중요 과학기술정보 보고서’, ‘중요 과학기술 국가 및 국제 조직의 관심 이슈’, ‘국제 과학기술 경쟁력 연구’, ‘국가 창조체계의 발전 추세 분석’, ‘과학발전 보고서’, ‘세계 과학에서의 중국', '과학 관찰' 등이 있다. 1.1.1.2. 장서개발전략 디지털 문헌자원을 위주로 하는 문헌 공유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여 국가과학도서관 및 국가과학기술 문헌 플랫폼과 협력하여 e-first/only 자원 도입 모델을 도모한다. 장서 개발에서 디지털 문헌 보장 능력을 배가하고 이용자의 디지털 정보자원 능력을 확장하는 일련의 관리 모델로 전환을 촉진한다. 중국과학원, 전국 및 전세계의 자원을 공유한다는 원칙을 견지한다. 맞춤화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인쇄자원을 위주로 디지털 자원을 부가??주로 제한된 인쇄자원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최종적으로 e-only 방식을 실현하도록 한다. 1.1.1.3. 향후 방향 현존 핵심 자원을 공고히 하며 필요한 핵심 자원을 적당히 증가시켜 다음과 같은 변화를 일으키도록 한다. 자원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서비스 모델에서 문헌정보 공급 경로 및 공급 보장능력을 확대시키는 서비스 모델로 전환한다. 자원 개별 구입 모델에서 구입한 자원을 외부 공급 경로, 디지털 자원, 인쇄자원, 단일 기관 자원과 연계하여 중국과학원 전체 자원을 총괄적으로 처리·관리·제공하는 모델로 전환한다. 중국과학원 전체 단일 형식의 디지털 자원 공급 모델에서 이용자 수요를 고려하여 다양한 디지털 자원을 지원하는 서비스 모델로 전환한다. 구입을 위주로 한 장서 개발 기제에서 수요 조사, 자원 분석, 공급 방식 설계, 공급 기제 조직, 기술 지지, 이용 효율 평가 등이 포함된 정보 보장 능력을 개발하는 모델로 전환한다. 또한 중국과학원에서의 인쇄자원 협조를 강화하고 자원 배치를 최적화하며 새로운 문헌정보 보장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정보의 보장 능력을 높이도록 한다. 주요 학술db와 핵심 db를 구입하여 웹 검색 능력은 과학기술의 전 영역을 포괄하도록 한다. 중국과학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보편성이 있고 일상적인 수요를 고려하여 종합적인 핵심 원문 db를 구입하여 중국과학원에 제공한다. 주요 학문 영역의 일상적인 수요에 대하여 해당 학문 영역의 핵심 원문 db를 추가 구입하여 관련 연구소에게 제공한다. 전문 전공 영역의 일상적인 수요에 대하여 해당 전공 연구소를 핵심으로 한 특색있는 별관을 설치하여 수학, 천문, 공간기술, 해양, 에너지 등의 원문 db를 개통하고 신속한 문헌제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국과학원 원내의 보편적이거나 분산되거나 단속적인 수요에 대하여 해당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필요한 해당 원문 db를 공유하고 신속한 문헌제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국과학원 원내의 분산되거나 단속적인 수요에 대하여 다양한 문헌제공서비스 기제를 구축하여 문헌제공서비스를 보장한다. 과학기술 학술지를 충분히 개발하고 공개하며 원문 회의록, 학위논문, 회의논문, 핵심 사전/참고 사전 등의 인터넷 버전을 지원하고 대학원생 교육 정보자원을 개발하는 것을 강화시킨다. 문헌제공서비스 능력을 강화시켜 외부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과 신속한 공급 능력도 함께 보강한다. 이는 중국과학원 외의 기타 핵심 도서관, 국내 기타 문헌 체계, 국내 특수 문헌 기관 및 외국의 제3자 관련 공급 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문헌제공서비스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강화하며 저원가(低原价), 고효율(高效率)의 문헌정보 보장 능력을 높인다. 인쇄자원을 위주로, 디지털 자원을 부가로 하는 자원 협조 모델(p+e)에서 디지털 자원을 위주로, 인쇄자원을 부가로 하는 자원 협조 모델(e+p)로 전환한다. 문헌정보 보장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2010년까지 외국어 디지털 원문 학술지는 7천여종이 되고 중국어 디지털 학술지는 100%를 포괄한다. 또한 문헌 신속 제공서비스를 통해 반일(半日)내 제공서비스를 1만2천종으로 늘리고 기타 문헌정보 시스템, 외국의 제3자 문헌제공서비스 시스템과 협력하여 1~2일내에 전송되는 서비스 실현율을 98% 이상으로 높일 것이다. 1.1.1. 인도 : 국가과학커뮤니케이션·정보자원기관(niscair ;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sources) 1.1.1.1. 개요/조직(도) niscair은 국가과학커뮤니케이션기관(niscom)과 인도 국가과학문헌센터(insdoc)을 합병하여 2002년 9월 30일 발족하였다. niscom과 insdoc은 과학산업연구위원회(csir :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의 주요 기관이었으며, 과학기술정보의 배포와 정보관리에 기여하였다. 1.1.1.1. 1.1.1.1. 1.1.1.1. 추진업무 및 서비스 niscair은 과학산업연구위원회(csir) http://csir.res.in 연구소의 전자학술지 제공 컨소시움(이하 전자학술지 컨소시움)의 주관기관으로서 해외 주요 기관에서 발행되는 과학 정기간행물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2007년 현재, 15개 전자학술지 출판사와 개별 계약을 통해 4,255종의 학술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실제 이용 가능한 학술지는 5,0000종이 넘는다. 아울러 2,000종 이상의 오픈액세스 학술지도 연계되어 있으며, 이밖에 db와 표준으로서 wos(web of science), dii(derwent innovations index), delphion, astm standards, indian standards도 이용할 수 있다. 1.1.1.1. 장서개발전략 nsl의 장서 개발 정책은 인도에서 출판되는 모든 중요한 과학기술 출판물을 수집하고 cd-rom이나 기타 가능한 전자 형태로 해외 학술지를 수집하여 해외 정기간행물에 대한 자원 기반을 공고히 하는 것이다. 1.1.1.2. 향후 방향 niscair은 향후에도 인도 내에서 발행되는 모든 과학기술 출판물의 수집 뿐만 아니라 해외 유수의 학술지 등의 온라인 접근과 제공을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출판사와의 개별 라이센스 계약을 통해서 csir과 같은 niscair의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한 컨소시움 형태의 전자학술지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컨소시움 형태의 전자학술지 이용은 인도 과학기술부 뿐만 아니라 대학 지원을 담당하는 인적자원부 등의 타 부처에서도 지원된다. 이 컨소시움에는 이들 기관·학교 외에도 aicte가 인정하거나, ugc(인도 대학교부금위원회)와 연계된 기관도 참여할 수 있어서, 현재 인도 전역의 461개 대학과 기관이 참여하고 있http://paniit.iitd.ac.in/indest/ 1.1.1. 프랑스 : inist(institut de l’informat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http://www.inist.fr/1.1.1. 1.1.1.1. 개요/조직(도) inist(institut de l’information scientifique et technique)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이하 cnrs :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산하 정보서비스 전문연구기관으로 1939년 cnrs의 원문복사서비스센터로 태동하여 1988년 과학기술정보센터(cdst : centre de x-documentation scientifique et technique)와 인문사회과학정보센터(cdsh : centre de x-documentation en sciences humaines)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cnrs는 프랑스 전역의 약 1,200여개의 연구소를 설립·운영하고 있으며, inist는 cnrs의 과학기술정보국의 지휘 감독을 받으며 프랑스내 이들 연구소에 과학기술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과학기술 첨단정보를 공공기관, 학계 그리고 사회경제 분야의 다양한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첨단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통해 다국어로 제작된 db를 포함하여 모든 제반 정보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프랑스와 전세계에 제공한다. 1.1.1.1. 1.1.1.1. 1.1.1.1. 추진업무 및 서비스 &#61601; inist 온라인 목록 - article@inist, articlesciences를 통해 다양한 서지 정보를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지원 - article@inist에는 1990년부터 수집한 1,000만건 이상의 정기간행물 정보, 211,000건 이상의 학위논문과 회의록(proceeding) 정보가 들어있으며, 매일 3,000건 이상의 신규 서지정보가 등록된다. - articlesciences는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를 지원하는 검색 인터페이스로 정기간행물을 검색하고 해당 자료의 복사본을 온라인으로 주문·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61601; 원문복사서??외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61601; sigle db - 유럽에서 생산되는 회색문헌의 수집, 서지 관리, 접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럽연합에서 1981년 발족한 sigle의 책임 기관의 역할도 수행한다. sigle은 회색문헌에 대한 접근을 확대하고 유럽연합 지역내 주요 국립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각종 자원을 결합하여 서지적 망라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61601; 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 제공 - francis는 inist와 국내외 관련 기관들과 파트너쉽을 통해 구축된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전문db이다. 1972년부터 컴퓨터 가독형태로 제작되어 현재 인문사회과학분야의 약 280만건의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2000년 이후로는 서지정보 이외에 약 80% 정도가 초록을 포함하고 있다. 21개 학문 분야의 서지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연간 약 8만여건 이상이 추가된다 - pascal은 과학기술 및 의학분야, 특히 유럽지역(약 45% 이상)의 핵심 정보 약 1,700만건을 1973년부터 수록하고 있는 다분야, 다중언어 db이다. 2000년 이후에 구축된 db에는 저자 초록이 90% 이상 작성되어 있는데 이는 연구결과물과 연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온라인 정보서비스나 관련 과학포털과 연결하거나 cd-rom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과학기술 관련 다양한 분야를 수록하고 있어 특정 db에 포함되지 않거나 다수의 다중분야간 중복 주제에 대한 논문 검색에 특히 효과적이다. - isd는 다양한 stm 분야의 문헌정보에 대한 서지db이다. isd는 1990년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8천여종의 정기간행물에 수록된 약 1천만건 이상의 논문을 담고 있으며 주 단위로 약 1만건의 자료가 갱신되어 연간 50만건 이상의 신규 자료가 추가된다. isd는 ovid사의 홈페이지(www.ovid.com)를 통해 이용가능하며 주로 대학과 공공·민간기관에게 유용한 서지정보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inist와 직접 링크를 통해 문헌복사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다. - doge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회사경영관리 분야에서의 연구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즉, 관리, 인적자원, 회계, 사업 재정, 마케팅, 생산, 정보와 의사결정시스템, 공공관리, 국제 비즈니스, 환경 등의 분야를 포함한다. doge는 프랑스, 캐나다, 스위스에서 진행되는 60여개의 연구와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보고서, 연구자료, 논문, 학술지에 접근할 수 있다. &#61601; 도서 구독 서비스 제공 - 정보 포털을 통해 특정 과학단체를 위한 전자자원의 접근 제공 - inist는 별도의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업무 지원을 수행하는데, cnrs 소속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bibliocnrs의 운영, 국립보건의학연구소(inserm)와 협력하여 의학분야의 주제어 시소러스인 mesh의 프랑스어 버전의 구축 및 서비스, 고고학과 역사 분야의 서지db를 제공하는 daphne 운영, 전문용어 포털사이트인 termsciences 운영,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전자 레파지토리 기반을 구축하는 driver(digital repository infrastructure vision for european research) 프로젝트 운영, 온라인 이용통계를 제공하는 counter 프로젝트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 1.1.1.2. 장서개발전략 inist는 모든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의 통합된 채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inist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순수과학기술과 기술학 등의 과학기술 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학, 환경, 법학, 사회학 등 다수의 인문사회과학 분야도 포함한다. 제공하는 정보의 형식은 중앙정보시스템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초기 문서부터 가공된 정보(예를 들어, 통계, 계량정보, 데이터뱅크)로 확대하고, 이에 대한 보존도 고려한다. 또한 연구개발에 대한 공공 정책과 주요 db간의 연계와 조화가 가능한 기술적 해결 방법을 정보자원 개발 정책에 포함하여 발전시킬 예정이다. 1.1.1. tib(technische informations bibliothek) http://www.tib-hannover.de1.1.1. 1.1.1.1. 개요/조직(도) tib(technische informations bibliothek)는 독일의 과학연구기관의 기금지원과 관련된 국가 조약인 k&ouml;nigsteiner 조약에 기초하여 독일연구재단(dfg)의 권고로 설립된 독일 국립과학기술도서관으로 조직적으로는 niedersachsen주의 leibniz universitat hannover에 속해 있다. tib는 공학 및 건축, 화학, 정보학, 수학, 물리학 분야를 위한 전문도서관으로 이미 10여년 전부터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아울러 축적된 유수의 장서를 바탕으로 전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문헌제공기관이다. tib의 역할은 과학, 공학 혹은 자연과학 분야에 해당되는 자료와 도서를 전세계에서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축적된 방대한 자료들은 tib의 이용자에게 복사 뿐만 아니라 대출도 가능하다. 아울러 tib는 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관련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향후 디지털 도서관 설립을 통해 이러한 서비스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오늘날 tib는 독일의 모든 주와 연방정부(bmbf : 과학연구부)로부터 정해진 연구 지원 조약에 따라 재정 지원을 받고 있으며 그 비중은 각각 30%와 70%이다. 2006년의 tib의 장서 수집 예산은 약 850만 유로(한화 약 103억원)이었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