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37
since 2007.04.30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연재17회> 비특허문헌 서비스 현황

글쓴이 이범철 작성일 2009.11.27 00:00 조회수 2525 추천 0 스크랩 0
1.1.1.1. 1.1.1.1. 1.1.1.1. 추진업무 및 서비스 &#61601; 문헌제공서비스(x-document delivery service) - 정보 검색은 해당 홈페이지 http://www.tib-hannover.de/de/dokumentlieferung/suchen-und-bestellen/- 의 tib 목록, 온라인 콘텐츠(학술지 논문), 컨퍼런스 회의록, tib의 메타검색엔진, fiz technik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가운데 선택하여 수행하여 주문할 수 있으며, 검색 없이 바로 주문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 회원가입을 통해 직접 주문할 수 있다. 주문은 원하는 대로 가능하며 특히 tiborder를 이용하면 주문 현황을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61601; full service - tib의 전문 분야가 아니더라도 다른 분야에 관한 글로벌 자료를 출판사나 연구기관, 저자 등에 구애받지 않고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받으려면 별도의 조건과 비용이 부과되므로 직접 서비스 담당자에게 연락해야 한다. &#61601; tibsubito library service -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내에 있는 도서관에 한정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원하는 자료가 없을 경우 다른 도시의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고 주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각 도서관은 관할 지역에 있는 이용자에게 직접 자료를 배달해 주며, 평일을 기준으로 최대 72시간 내에 자료를 제공한다. &#61601; 특수장서 서비스 - 표준(standard)동아시아 지역의 문헌, 동유럽 지역의 문헌이다. - 주로 공학과 기초 과학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며 주로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의 원어나 서양의 언어로도 수집 - 동유럽에서 유래한 도서와 문헌으로서 특히 공학과 수학, 물리, 화학과 정보학에 관계된 문헌을 수집 - 특허정보로서 tib에서 보유하고 있는 관련 문서는 주로 특허 승인이나 등록에 관한 특허문서이다. 아울러 해당 번역본도 포함되어 있다. 특허 관련 문서는 약 1,300만건으로 pin에서 열람만 가능하며 온라인으로 보기 위해서는 해당 특허 담당 기관의 전자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다. tiborder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 특수 장서로 독일 및 해외에서 발간된 연구보고서를 보유 - bmbf와 dfg가 지원한 연구결과를 중요시 여기며, 현재 약 22,400건(2007년 12월 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매달 200여건의 새로운 보고서가 온라인상으로 추가되며 pdf 파일 형태로 수록된다. 이와 관련 tib는 bmbf에서 지원하는 연구결과물에 대한 소장 도서관으로 지정되어 1996년 1월 이후 연구에 대해서는 모든 결과물을 인쇄 보고서와 전자문서 형태로 저장하여 tib에 제출해야 한다. - 미국 국립기술정보국(ntis :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에서 보관하는 연구보고서 등 매년 2만여건을 수집 - 컨퍼런스 회의록(proceeding)에 대한 특수 장서도 보유 &#61601; 1차 데이터(primary data)를 보유 - 1차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 자체와 함께 연관된 메타데이터도 묶여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1차 데이터는 학술 활동의 정보 전달에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 이들 데이터는 연구개발 기관에서 생성되어 학자들이 관리하지만 이러한 작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로 인해 “학문 연구를 위한 자료 및 정보시스템”을 위한 정책하에 2004년부터 관련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 바로 “codata&quot;이다. 이러한 1차 데이터 관리를 위해 tib는 2005년부터 1차 데이터에 대한 doi 등록 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tib는 10만여건에 달하는 정보 가운데 수백건을 doi 방식으로 명시하고 목록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1.1.1.2. 향후 방향 현재 추진 중인 주요 프로젝트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추진방향을 가름함 digitale informationsversorgung :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한 중국-독일-중국 연합 프로젝트 -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중국-독일 연합센터(chinesisch-deutsches zentrum f&uuml;r wissenschaftsf&ouml;rderung)에서 3년간 지원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 중국과 독일의 과학 관련 도서관들은 양국 모두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의 글로벌화와 과학기술정보의 디지털화를 통해 구조적인 변화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관련 도서관들은 철저히 고객지향의 글로벌화된 틀 안에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중국-독일 연합센터는 과학지식의 소통과 서비스 개발을 공동으로 이끌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제조건으로서 “과학기술정보를 위한 디지털 서비스 제공”이라는 맥락의 프로젝트를 진행 - 참여한 전문가들은 tib와 중국 베이징과 청두의 과학기술원 도서관 소속 &#61601; linsearch : 언어적 인덱싱 및 검색 - linsearch 프로젝트는 fiz technik의 과학기술정보 가운데 독일어와 영어로 된 자연과학 및 과학기술의 텍스트에 대한 색인 시스템의 개선과 텍스트 처리 등에 사용되는 도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fiz technik과 tib의 검색도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자연언어 검색을 위한 정보검색의 자동색인 방법과 통합하도록 할 예정이다. - 본 프로젝트에는 tib 외에 forschungszentrum l3s), fiz technik gmbh, iai (saarland 대학 정보학 연구기관)가 참여하며, 2년반 동안 진행된다. &#61601; probado : 비정형 문서의 자동 열거와 저장, 검색서비스 도구 개발 - probado 프로젝트는 복잡하고 비정형 문서가 증가하면서 이들 문서의 처리를 위한 도구와 시스템, 처리 방법과 과정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이다. 이를 통해 도서관에서는 비정형 문서도 정형화된 문서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는 컴퓨터 사용과 함께 진행되는 수업자료나 3d컴퓨터 그래픽(특히 건축분야), 음악 등의 비정형 자료를 우선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tib는 도서관의 능력을 서비스화하고 서비스 자체를 실행시키는 책임이 있다. &#61601; online databases : tib를 통한 과학기술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 - 2007년 종료된 본 프로젝트의 일차적인 목표는 tib 서비스(getinfo-portal, tiborder, vifaholz, vifaphys, vifatec)를 통해 과학기술, 화학, 정보학, 수학, 물리학 등의 온라인 데이터뱅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dbis와 같은 대학도서관들의 서비스와 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프로젝트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허가획득 : 자연과학기술 영역의 데이터뱅크 제공자와 함께 tib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뱅크의 광범위한 이용에 대한 허가를 얻기 위해 협상을 한다. - 사용모델과 허가모델 : 온라인 데이터뱅크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을 위한 사용모델과 허가모델을 개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뱅크의 제공자들과 함께 토론이 필요하다. - 과학기술적인 전환 : tib는 기존의 인프라 시설을 이용하여 기술적인 해결 방안의 개념과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한다. - 마케팅 : 이용자에게 온라인 데이터뱅크의 광범위한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여러 가지 마케팅 방법이 동원된다. &#61601; virtual library of chemistry ii (vifachemii) : 화학분야의 가상도서관 ii - virtual library of chemistry ii (vifachemii) : 화학분야의 가상도서관 ii -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 정보 검색과 정보 수집, 수집된 문서의 분석 등 이용자를 활동적으로 지원하는 개념과 기술,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화학자들을 위해 개인화된 가상 지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독일 화학회(gdch), fiz chemie(화학 전문정보센터) 등과 함께 추진되며 화학 포탈인 chem.de를 운영하게 된다. 주요 내용으로는 자료추출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연결, 분류학과 존재론을 이용하여 화학분야의 정보를 분류·조직화, 화학에 대한 구조검색 등 확장된 검색, 열람 기능 부가, 웹2.0 개념의 검색 기능과 필터링, 열람 도구를 제공하는 개인화된 가상 지식 기반 구축이다. 2008년부터 2년간 진행된다. &#61601; virtual library of mathematics : 수학분야의 가상도서관 - 수학분야의 가상도서관은 수학적으로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중심적 접근점으로서 2005년부터 2년간 수행되었다.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는 수학분야의 주요 정보기관인 tib, 괴팅엔 대학도서관(sub g&ouml;ttingen), fiz karlsruhe(zentralblatt math)의 3개 기관을 연결한 가상도서관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학정보의 통합과 검색 기능 확대 등을 이루었다. 1.1.1. 러시아 : viniti(1.1.1. http://www.viniti.ru 1.1.1.1. 개요/조직(도) viniti(러시아과학기술정보센터)는 러시아 연방 과학기술부 산하기관으로 1952년 러시아과학아카데미(ran) 부설 viniti로 창설되었다. viniti는 러시아 최대의 정보센터로서 러시아 및 국제 연구소에 자연과학, 기술과학과 관련된 보다 정확하고 방대한 과학기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initi의 조직은 학술협의회, 정보출판편집단 그리고 학위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1.1.1.2. 주요연혁 1993년 2월 3일 러시아연방 정부의 지시에 따라 러시아과학아카데미 부설 viniti가 설립되었고 cis(독립국가연합) 국가들과 국가간 과학기술정보 교류 체제 구축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 정보센터로 자리매김하였다.1998년 10월 14일 러시아연방 과학기술부와 러시아과학아카데미의 명령에 따라 viniti는 러시아의 국가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의 핵심 기관으로 부상하였다 1.1.1.3. 보유장서현황 1.1.1.4. 추진업무 및 서비스 주로 과학기술문헌을 활용하여 viniti의 정보출판물 및 기타 출판물을 발간, 주요출판물로는 인쇄 및 전자 형태로 발간되는 초록 저널 &#61601; 과학기술분야 데이터베이스(db) 문서 &#61601; 초록 색인 &#61601; 리뷰 정보 &#61601; 연구보고서, 정보집 및 회보 &#61601; 정보소식지(뉴스레터) &#61601; 긴급정보 &#61601; 도서 색인 &#61601; 학술정보 활동에 대한 과학기술자료집 &#61601; 정보활동 분야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전문논문/서적 &#61601; 학술행사 자료 색인 &#61601; 정보출판물 목록 - viniti db 서비스 - 문헌복사서비스 - 참고도서목록 서비스나 viniti db 자료사본 및 제공에 대한 자문 서비스 1.1.1.5. 장서개발전략 viniti는 다양한 분야의 초록 저널 형태의 정보지, 단행본, 학술논문집, 회의, 심포지움, 세미나 그리고 다양한 학술행사 자료들, 잡지와 같은 정기간행물을 출판하는 학술기관들의 자료집, 고등교육기관 학습서 및 학습보조자료, 논문 개요보고서, 기타 다른 공식 문서들을 수집하고 있다. 1.1.1.6. 향후 방향 viniti의 정보출판물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며 전세계 68개 국가의 전문가들과 학술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학술 기관, 대형 도서관 및 정보센터, 대학교 도서관 및 학과, 아카데미, 기타 다른 학술기관 및 연구조사기관, 산업계의 기업 뿐만 아니라 러시아 인접국가와 기타 국가의 과학기술분야 전문가들이 viniti의 초록 저널과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자료 신청을 하고 있다. 러시아권의 자료로는 불충분하여 정보출판물에 포함된 정보를 발간하는 출판사와 협정조약을 맺어 가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http://www.jst.jp1.1.2. 1.1.2.1. 개요/조직(도) 독립행정법인 과학기술진흥기구(이하 jst :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는 “지식창조에서 사회 환원과 이를 위한 기반 정비를 책임지는 일본과학기술의 통합적 기관”으로서 일본의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실행하는 중추 기관이다. 현재는 제2중기계획(2007년 4월 ~ 2012년 3월)에 따라 다음의 5가지 사업을 추진한다. jst, “獨立行政法人科學.技術振興機構が中期目標を達成するための計劃(中期計劃)”, 2007.4.1 제정, 2008.3.31 개정 1.1.1.1. 1.1.1.1. 1.1.1.1. 보유장서현황 1.1.1.2. 추진업무 및 서비스 &#61601; 제2 중기계획에 의한 5가지 업무로 요약할 수 있다 ①신기술의 창출에 기여하는 연구 - 전략적인 기초 연구, 사회기술 연구개발, 대인지뢰탐지·제거기술 연구개발, 혁신적인 기술개발, 첨단계측분석기술·기기의 연구개발, 연구개발 전략 수립 ②신기술의 기업화(상용화) 개발 - 산학공동연구에 의한 이노베이션 창출, 대학과 같은 독창적인 시즈를 기반으로 기업화 추진, 기술이전 활동의 지원, 지역 이노베이션 창출 ③과학기술정보의 유통 촉진 - 기본적인 과학기술정보의 정비와 활용 촉진, 기술자의 지속적인 능력 개발 지원, 연구자의 유동성 향상에 기여하는 정보 제공, 바이오인포메틱스 추진, 과학기술논문의 수집, 유통 촉진, 공공 연구기관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원, 과학기술에 관한 문헌정보 제공 ④과학기술 관련 연구개발의 교류·지원(연구교류·지원) - 전략적인 국제과학기술 협력 추진, 정부개발지원과 연계한 국제공동연구 추진, 해외정보의 수집 및 외국인 기숙사 운영, 지역별 산·학·관이 참여하는 공동연구 ⑤사업 추진, 연구협력원 파견을 통한 연구지원 - 과학기술 관련 지식의 보급, 국민의 관심·이해의 증진(과학기술이해증진)과학기술에 관한 학습 지원, 과학기술커뮤니케이션의 촉진, 일본과학미래관의 정비·운영 1.1.1.1. 1.1.1.1. 1.1.1.1. 향후 방향 2011년까지 jst의 경영기반 강화와 수익성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문헌정보 제공 사업 부문의 다양한 시책을 강구한다. jst, 문헌정보제공사업 경영개선계획(제2기 2007년도~2011년도), 2007.4. 이와 관련하여 판매력을 높이기 위해서 jdreamⅱ의 유료화를 확대하는 새로운 요금제도를 도입하고, jdreamii를 기반으로 하는 신규 서비스 개발과 더불어 특허정보제공기관 등 타 기관과의 db 제휴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수익성이 좋지 않은 서비스는 적극 개선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jst는 과학기술정보 유통의 인터넷사업체를 지향한다. 즉, 인터넷을 통해 즉시성, 투명성, 쌍방향성이 높은 정보 제공과 jst 서비스의 편리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일본 국내외에서 과학기술에 관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게 입수할 수 있도록 jst 사업 및 성과와 함께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연구개발 동향을 국내외에 제공하여 과학기술에 관한 정보의 원스톱 서비스를 지향한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