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37
since 2007.04.30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연재20회> 비특허문헌 서비스 현황

글쓴이 이범철 작성일 2009.11.30 00:00 조회수 3555 추천 0 스크랩 0
1.1. 1.1. 1.1. 유럽특허청(epo) 1.1.1. 일반현황 1.1.1.1. 개요 2006년 epo의 npl 활용통계에 따르며 각 search report에 대하여 평균 5건의 문헌이 인용되었고 이중 0.7건이 비특허문헌에 해당되며 약 14%의 비특허문헌 인용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biotechnology, telecommunication 등의 신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오히려 특허보다 더 많은 비특허문헌이 인용되고 있으며 일례로 biochemistry 분야에서는 5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심사시에도 이와 같은 수준으로 비특허문헌이 인용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처럼 비특허문헌의 인용률이 이례적으로 높은 것은 아래 epoque 시스템의 데이터 정보량에 대한 도표에서 2006년을 기점으로 비특허문헌의 정보량이 특허의 정보량을 추월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epo에 in-house로 구축된 풍부한 정보자원을 기반으로 epoque 시스템을 통하여 편리하게 비특허문헌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에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epo에서 비특허 관련 업무는 주로 특허등록자동화(patent grant automation) 부서에서 담당하며 각 팀에서는 raw 데이터 생산과 관련하여 epo에 출원된 특허에 대한 각종 서지·분류정보 부여, 해외특허청 및 논문 publisher로부터 데이터 입수, 데이터분석 및 표준화, 데이터 오류 수정 등을 담당하고 있다. - - - 검색 및 지식 관리 : epoque검색 및 검색 인터페이스 조정, 특허 및 비특허 자료 관리, 검색엔진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지식관리, epoque net world 관리 - 심사 및 방식심사 지원 : epodos, muse operational, ephoenix, epasys/pip, appsys, adm, madras integration, sdms/cps - 정보 입수 : epo 심사에 필요한 특허 및 비특허문헌 데이터 입수, doc 품질확인, 문헌 사용자 지원, 바이오기술 특별지원 - 데이터 자원관리 : docdb 관리, 데이터 수정, 데이터 리포멧팅, 로딩 및 추출, 데이터 분석 및 표준화 - 분류관리 : 계획관리와 조정, 가분류 작업, 국제 분류 조정작업 1.1.1. 비특허 데이터 관리 현황 1.1.1.1. 검색 데이터 구성 현황 유럽특허청의 경우 특허심사 과정에서 비특허 문헌 검색을 위해 이용되는 주요 경로는 자체 운영하고 있는 epo 가상 도서관 (epo virtual library, evl)이다. evl은 3,911여종 저널의 인터넷 서비스와 주요 과학기술분야 출판사들의 컨퍼런스 자료들, 매뉴얼, 기술사전, 백과사전들에 대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문서전달서비스(e-olit)와 연계되어 심사관의 pc에서 원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각 epo 회원국이 보유한 원문 구독 여부에 따라 원문이용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epo는 회원국 각각의 npo(national patent office)와 연합하여 출판사들로부터 정보이용을 위한 umbrella licence 획득을 추진함으로써 중복 구독을 방지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심사관들이 이용할 수 있는 in-house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시스템적으로 비특허문헌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시스템적으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에는 pct 최소문헌에 해당하는 정기간행물 중 선정된 저널들과 pct 최소문헌이 아니더라도 심사관들에 의해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는 기타 간행물들이 포함된다. epo는 출판사 등 정보제공자와의 협약을 통하여 방대한 규모의 비특허문헌 정보를 in-house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으며 제공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초록 및 전문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되어진다. 또한 심사과정에 활용된 비특허문헌을 대상으로 서지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npl db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구성의 특성에 따라 각기 장·단점이n-house로 구축된 전문db에는 학술저널 이외에도 각종 standard, draft, defensive prior art 및 전통지식 등의 자료가 포함되며 특히 전통지식 분야에 있어서는 기 구축된 xptk(indian traditional knowledge)외에 추가적으로 인도의 전통지식 데이터베이스인 tkdl(traditional knowledge digital library)에 대하여 epo 심사관들이 온라인으로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2009년 2월 인도의 과학산업연구의회(csir,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와 합의하였다. epo에서 전통지식분야의 정보를 중요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한국 특허청에도 자체 구축한 전통지식db(www.koreantk.com) 자원을 심사시 보다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특허문헌 검색시스템에 연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해외특허청에서도 많이 이용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2004년 ieee, iee, aip, iop, elsevier등의 주요한 학술 데이터베이스들이 epoque 시스템에 포함되어 정기적인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상황이며 2005년 이후로는 특정 소규모 기술분야에 특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epo에서는 검색목적으로 제공하는 비특허문헌 데이터베이스와는 별도로 인쇄 자료에 대한 도서관을 운영하여 1,000여종의 정기간행물과 20,000여종의 기술자료를 구독하고 있으며 각종 레포트, 팜플렛 등을 비치하고 있다. 1.1.1.1. 비특허 데이터 관리 체계 &#61601; npl 데이터베이스 유럽특허청에서는 evl를 통하여 여러 상용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비특허문헌 통합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과 더불어 심사과정에서 획득되는 비특허문헌의 서지정보를 대상으로 내부 npl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npl 데이터베이스는 epo의 심사파일과 유럽, pct(wo), 프랑스의 search report에 포함된 비특허문헌 인용정보를 대상으로 작성되며 book, journal, 기술보고서, 데이터베이스 인용, 인터넷 인용, 컨퍼런스 프로시딩 등 다양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epo에서는 비특허문헌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내부적으로 가상의 국가코드로 “xp“를 붙인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이 npl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고 xp 번호가 부여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epo search report에 인용된 경우 - 심사관이 매우 흥미로운 article로 분류하여 npl 데이터베이스에 제출된 경우 - 심사관이 olit(x-document ordering service)을 통하여 원문을 요청한 경우 - 내부적으로 구축된 full-text 데이터베이스 이와 같이 검색목적을 위하여 선정된 article은 xp번호 및 유럽특허분류(ecla)를 부여하고 스캔이미지를 bns bns(bacon numerical service) 데이터 유럽특허청(epo)의 bacon (back file conversion)계획에 의해 입력된 특허관련 모든 전산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전자도서관 개발계획으로 epoque 시스템, caesar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활용가능하며, 2천만건의 문헌에 대한 전문복사 및 fax 전송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시스템에 탑재하며 별도로 manual search file에 추가된다. npl 데이터베이스는 xp번호, xp타입, 저자, 타이틀에 해당하는 공통 서지항목과 데이터의 타입에 따른 유형별 서지항목을 정의하여 관리한다. 과거 이와 유사한 비특허문헌 관리 db는 대표적으로 wipo의 jopal(journal of patent associated literature)을 꼽을 수 있었으나 한국 특허청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왔고 현재 wipo 웹사이트에서 jopal과 관련된 페이지들이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jopal db 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비특허문헌에 자체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심사관이 olit(x-document ordering service)을 통하여 원문을 구매한 경우 npl db에 등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활용에 있어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동일문서가 중복 신청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문이용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특허와 관련된 비특허 인용문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으로 비특허 문헌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 특허문헌의 연계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유럽특허청에서 대민검색을 위하여 운영하는 esp@cenet에서는 번호검색 기능으로 특허번호 이외에 xp번호를 이용한 비특허 검색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비특허 문헌과 관련된 특허정보를 역으로 추적하여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럽 특허연합 활동에 관련한 회의자료 ca/123/06 user support activities within the european patent network(epn)에 의하면 epo에서는 npl 정보의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하여 npo(national patent office)간의 협력활동을 다음과 같이 추진하고 있다. 첫째, 비특허 정보의 원활한 확보를 위하여 각 국가의 출원인 및 발명가들이 연구 결과물을 특허형식이 아닌 인터넷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권장하고 이를 epo에서 통합서비스 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초기 연구 성과를 보다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에 공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모든 회원국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기술 방어를 위한 정보공개(defensive publication)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특정 분야에 대해서는 신기술이 특허로 출원되는 것보다 논문 등의 형식으로 공개되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이들 분야에서 비특허 형식으로의 정보공개를 유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특허등록이 가능한 기술개발을 장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둘째, npo들이 보유한 비특허 정보들을 상호 교환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유럽 특허시스템의 모든 유저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모든 국가들의 비특허 문헌의 상태를 파악하고 분류, 공개일자, doi, 키워드, 초록번역, cross-reference 정보 등 비특허 문헌의 데이터 필드를 정의를 정의하며 epo의 xp 번호 문서와 같이 각 회원국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간 상호 링크를 허용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epo의 npl 데이터베이스에 로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셋째,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npl 데이터에 대하여 출판사로부터 epo 회원국의 공동 이용계약(umbrella licence) 취득을 추진함으로써 중복구독을 방지하고 데이터 이용비용 절감하며 지불체계 합리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epo에서는 궁극적으로 각각의 회원국이 보유한 비특허 정보를 epo내 npl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데이터 통합에 따른 언어문제 해결을 위하여 emtp(european machine translation programme)를 활용하여 초록까지 epo 공식 언어로의 번역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1.1.1. 비특허 검색 활용 현황 유럽특허청의 심사관을 위한 통합검색시스템은 epoque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다양한 검색 resource에 대한 검색을 지원한기 위한 search application과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display tool 및 여러 심사행정업무를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합 메뉴를 제공한다. 비특허 문헌 검색은 epoque 검색 어플리케이션 메뉴 중 xfull을 통하여 이용가능하다. xfull은 특허 검색과 비특허 검색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gui기반의 검색시스템으로써 비특허검색부분에서는 epo가 보유한 모든 초록 및 전문 비특허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통합검색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검색시 epo가 보유한 비특허 데이터베이스 중 검색대상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각 데이터베이스 별로 분리된 검색결과 건수를 보여?으로 자신이 원하는 최종 검색결과로 접근해 갈 수 있는 단계별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검색이 완료된 시점에서 문서 간략정보 viewer인 doclink를 이용하여 xfull의 단계적 검색결과에 대한 해당 문헌의 간략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doclink는 검색결과로부터 간략정보가 요청된 문헌에 대하여 먼저 evl를 이용하여 해당 저널에 대한 구독여부 및 무료이용 가능여부를 체크하고, 내부 np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문헌이 이전에 search report에 인용되었거나 원문이 요청되어 내부적으로 보유하고 있는지를 체크하여 xp번호를 보여주며 또한 crossref의 doi 정보와 인터넷 하이퍼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원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viewer를 통해 원문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epo는 5,000 종 이상의 인터넷 저널과 다양한 인터넷 자원을 구독 중이나 epo 내부의 비특허 문헌 db 기사와 인터넷 상의 위치 정보간에 신뢰성 있는 연결정보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crossref와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하여 epo search report에 인용된 모든 비특허 문헌을 포함하여 전체 npl master db의 record에 대하여 doi를 연계하여 데이터의 활용도를 증진시켰다. epo는 epoque 시스템을 통하여 in-house로 구축된 비특허문헌 db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지만, 지속적으로 외부 host 검색 자원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통계에 따르면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외부 host 검색 이용량의 98%는 stn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특히 cas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집중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한국 특허청의 경우 화학생명공학심사국에서 독자적로 stn과 계약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ca on cd 등 화학분야의 cd-rom 콘텐트가 이용되고 이에 대한 통합검색 개선이 요구되어온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화학분야의 특성상 기존 키워드 검색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화합물 구조 검색을 통한 검색의 편의성 및 정확성의 향상이 요구되므로 epo에서는 stn 화합물 검색에 대한 보완책으로 pubchem 미국 nih의 화합물분자 라이브러리 로드맵의 일원으로서 저분자 유기화합물의 화학구조 및 생물학적 활성정보를 제공 (http://pubchem.ncbi.nlm.nih.gov)이 이용되기도 한다. 1.1.1. 기타 &#61601; citation 정보 관리 epo에서는 출원서에 포함된 citation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유럽특허에서 citation 정보는 출원인의 의무 사항이 아니므로 표현형식이 다양하고 때로는 참고문헌 리스트를 포함하기도 한다. 따라서 epo는 출원서의 명세서(dex-scription)와 참고문헌 리스트를 대상으로 ocr을 통하여 citation 정보를 추출하고 출원서 전문 마지막에 별도로 citaion 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citation 정보에는 특허뿐만 아니라 비특허 문헌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wipo st.36 xml 형식에 맞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icrosoft의 word로 작성된 특허 출원서를 ep, pct 출원을 위한 표준 xml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인 patxml을 통하여 인용되는 특허정보 뿐만 아니라 비특허 정보까지도 규격화된 xml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특허3극회의에서 논의되는 공통출원포멧(common application format)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이처럼 지속적인 인용정보의 관리에 의해 2007년 현재 epo의 citation 데이터베이스인 refi에는 12.5백만건의 출원서 및 공개특허에 대하여 83백만건의 참고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