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37
since 2007.04.30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연재22회> 비특허문헌 서비스현황

글쓴이 이범철 작성일 2009.12.01 00:00 조회수 3021 추천 0 스크랩 0
1.1. 1.1. 1.1. 중국특허청(SIPO) 1.1.1. 일반현황 1.1.1.1. 비특허 관련 조직 &#61601; 특허문헌부(&#19987;利文&#29486;部) 중국특허청(SIPO)의 특허와 비특허 문헌 정보에 대한 관리는 특허국(&#19987;利局) 심사업무부문의 특허문헌부(&#19987;利文&#29486;部)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하부조직으로는 문헌연구처, 문헌정보수집처, 문서 분류처, 지적재산 도서관처, 데이터가공관리처, 문헌연람처, 특허정보처, 종합처가 있고 특허문헌부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8228;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 정보 자원의 구축 및 관리 &#8228;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의 국제, 국내 수집 및 교환 &#8228; 심사업무에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정보 서비스 &#8228; 전국 특허문헌정보의 전파 및 서비스 업무 지도 &#8228; 특허문헌과 그와 관련된 표준에 대한 연구 &#8228; 특허분류 연구 &#8228; 지재권도서관 및 그와 관련된 서비스 &#8228; 출판물 편집(특허문헌연구, 특허분류동태 지적재산권 소식, 데이터 가공 및 전송) &#61601; SIPO 특허검색 자문센터 SIPO 특허검색 자문센터는 1993년에 설립되었으며 SIPO직속의 사업부서이다. 현재 중국내 과학기술 및 지식재산권 분야에 특허정보검색, 특허사무에 대한 자문, 특허 및 과학기술 문헌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회 각계에 특허와 과학기술정보 관련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며, SIPO의 심사국을 위해서 STN, Dialog등의 상용 시스템의 국제 온라인 검색서비스, 특허 검색 기술 및 방법에 대한 홍보와 보급, 국제 교류와 협력 등을 통한 최신의 선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1.1.1. 1.1.1. 1.1.1. 비특허 데이터 관리 현황 &#61601; 비특허 정보 자원 구축 중국특허청(SIPO)은 26개의 비특허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STN, Web of Knowledge, Elsevier ScienceDirect, IEEE/IEE Electronic Library, EI Compendex 등이 포함된다. 또한 중국간행물전문데이터베이스는 2004년 현재 1994년 이후의 간행물 5,300종을 수집하고 있다. 중국의 중요 신문데이터베이스는 2000년 6월 이후의 중국내 공개 발행된 430종의 신문의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61601; 비특허 디지털 자원 포탈(Non-patent Digital Resource Portal) 심사관들에게 접근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현재 구축중인 비특허 디지털 자원 포탈은 MetaLib/SFX를 기본골격으로 하여 SIPO의 비특허 자원을 통합하고 있다. SIPO의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NDRP은 인트라넷과 인터넷으로 구성하였으며, 터넷 비특허 디지털자원 포탈은 CNKI, Wanfang, Web of Knowledge, Elsevier ScienceDirect, IEEE/IEE Electronic Library, EI Compendex 등의 73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54종은 구매하였으며, 18종은 무료이고, 1개는 SIPO가 개발한 것이다. 인트라넷 포탈은 CNKI, SSLIBRARY, Wanfang, Web of Knowledge와 같은 21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검색과 링크를 제공한다. NDRP 시스템은 사용자 기능, 자원할당, 인터페이스 구현 등을 거친 후에 운영될 것이다. 1. 1. 1. 비특허 문헌 서비스 최적화 방안 1.1. 비특허문헌 서비스 최적화 모델 제안 1.1.1. 목표 1.1.2. 최적화 모델 개발 방향 1.2. 비특허문헌 확충 방안 &#61601; 한국특허청 특허심사업무 지원을 위한 비특허문헌 검색서비스를 위한 콘텐트 확충방안은 아래 그림과 같이 단계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그림에서 약어 KTKP를 전변경 &#61601; &#61601; &#61601; KIPO-NPL(가칭)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콘텐트를 확대한다. 다음과 같이 나누어서 내부 외부 메타솔루션 각 유형별로 검색 콘텐트로 선정 콘텐트 유형별로 in-house 용 .... - 1단계는 KIPO의 전통지식DB, KIPO의 소장자료DB, KISTI의 연구보고서, KERIS 학위논문 등을 KIPO-NPL(가칭)로 통합 서비스 - 2단계는 학위논문, 단행본 등 외부 ISP(Information Service Provider)들이 제공하는 오픈 API 연계를 통한 콘텐트 확충 - 3단계는 메타검색 솔루션을 도입하여 중요한 웹자원의 통합검색기능을 제공 1.1.1. 학술잡지 1.1.1.1. 수요 원문 조사 학술잡지의 경우 PCT 최소문헌과 한국특허청 내부 수요조사, 미국특허청, 유럽특허청, 일본특허청에서 구독중인 자료에 대한 분석작업을 수행하였다. 1) PCT 최소문헌 가장 기본적인 자료인 PCT 최소문헌(부록 ? 참조)에 대한 확보방안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PCT 최소문헌은 국제 특허 심사시 필수적으로 검색하여야 하는 비특허문헌으로 국제조사기관(ISA)은 PCT 최소문헌에 해당하는 비특허문헌을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PCT 최소문헌 144종은 관리기준의 차이로 NDSL에서는 164개의 레코드로 관리하고 있으며, 특허청이 구독하고 있는 70종은 KIPO-NPL(가칭)를 활용해 논문검색에서 전자원문까지 원스톱으로 이용 가능하고, 특허청이 구독하지 않는 저널 94종은 KIPO-NPL(가칭)를 통해 국내소장기관 파악 및 원문서비스(DDS)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 2) 특허청 내부 수요조사 결과 &#61601; 특허청 자체 설문(2008년10월 수행)을 통한 비특허문헌 수요조사결과 ”(‘09년 정기간행물, 전자저널DB자료 구독을 위한) 비특허문헌 수요조사현황”&#61601; &#61601; &#61601; &#61601; 원문수요 조사 및 비특허 문헌 검색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설문조사 (2009.02.09~13 실시) - Lab on a chip, Microelectronic systems Ecucation, Applied physics letters, Powder metallurgy, Physical Review 등의 저널에 대한 추가 구독, Nature, Annual Reviews 출판사의 구독 저널종수범위 확대, ScienceDirect 등의 구독연도범위 확대 등에 대한 요구 - - - EPO의 인용문헌 중 비특허문헌(학술저널) 약 32만건을 분석한 결과 약 4,600 여종의 학술지가 주로 인용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학술지별 인용율과 저널 종수 대비 인용율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약 1,000종 저널로 이용자 요구의 80% 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1.1. 학술잡지 원문 확보 최적화 방안 위와 같이 조사된 한국특허청의 비특허문헌 확보 현황과 실제 심사관들의 수요현황 및 해외 선진국의 비특허문헌 확보 현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1) 원칙 &#61601; 이용자(심사관)의 자원활용 행태 및 요구사항 반영 - 심사소요시간 단축을 위해 검색부터 원문획득까지의 소요시간이 짧은 전자형태 자료로 확보 - 국내문헌을 망라적으로 확보 - 필수적인 문헌에 대해서는 망라적이고 정확한 검색을 위하여 전문검색이 가능한 수준으로 확보 - 언어적 제한 극복을 위한 신뢰성있는 번역서비스 필요 &#61601; 세계적 수준의 특허품질 유지를 위해 EPO, USPTO, JPO 수준의 학술지 확보 - 현재 구독중인 학술지의 이용도 분석을 통해 비용대비 효과 검증 - EPO, USPTO, JPO 등 구독 학술지 분석을 통한 한국특허청 학술지 개발 - EPO search report 및 특허 참증 문헌에서 나타난 필수 학술지 분석을 통한 학술지리스트 제안 &#61601; 학술잡지 확대 구축 방안?? “특허심사 품질 향상을 위한 비특허정보 확대 구축 방안”에 따르면 - EPO 등 다수 인용 NPL 분석결과 및 확대 방향을 고려한 후, NPL 전자저널 순위 고려 확대 필요가 있음 - 전체 IPC를 고려한 전자저널 우선순위 결과에 따라 2008년에는 Wiley InterScience, Springer, Nature, Science를 확충하였고, 향후 AIP, ASTM, PNAS, OUP, JBC, ACM, Blackwell, IET, AACR, SPIE, J. of Immunology, Tranplantjournal, IOP, J-Stage가 향후 구독 확충 대상으로 선정됨 - 적어도 한국특허청의 비특허문헌 관련 예산 규모는 유럽특허청이나 미국특허청 수준은 못되더라도, 2007년 기준으로 11개 정도의 전자저널 상품을 추가적으로 구독할 수 있는 정도인 일본특허청 투입예산의 80%정도(12억원)이상 수준은 확보하여야 함 - 이러한 정도의 비특허문헌에 대한 예산투입노력이 있어야 심사처리기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심사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61601; 각국 특허청의 현황 분석을 통한 원문 확보 최적화 방안 제안 - 개별학술지 수준으로는 1,000종(가격포함)을 제시하고 1,000종의 핵심 저널에 대해서는 full-text 색인이 가능한 정도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부록 ? 참조) - 전자형태의 학술지는 패키지 형식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핵심 저널을 커버할 수 있는 전자저널 패키지로 정리(가격 포함)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부록 ? 참조) - 최소문헌하고 비교 필요! - 한국특허청 심사관들의 수요자료에 대해서는 핵심저널과 비교하여, - 국내학술지 추가 확보 방안 제시 &#8228; 메타데이터에 대한 통합검색은 NDSL + Dbpia와 한국학술정보의 메타데이터통합하여 지원 &#8228; 전자원문은 Dbpia와 한국학술정보를 구독으로 확보 &#61601; EPO에 준거하여 결론을 내린 이유!(2그룹 추가 요망!) - 미국특허청과 일본특허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특허문헌의 참증율이 ?%, 5%로 유럽특허청의 15%에 비해 낮음 - 유럽특허청은 패키지 혹은 DB → 학술지 → 개별논문으로 비특허문헌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고, 인용분석 등 활용행태 분석 등이 잘 진행되어 있음 1.1.1. 학술회의자료 &#61601; 학술회의자료에 대한 콘텐트 확보 방안은 <표 IV->에 제시되어 있음 - 주요 분야의 대표적인 서지DB(CA, INSPEC 등)에도 학술회의자료가 색인되므로 이러한 DB의 구독을 통해 메타데이터 검색이 용이함 - 단일 단체로서 비교적 대용량의 기술 분야 학술회의를 개최하고 학술회의자료를 생산하는 학회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체크할 기관명은 IEE, IEEE, SPIE, AIAA, ASME, ASCE, ACM 등 - 일부 학술회의 자료는 개최 후 편집을 통해 단행본으로 발행되어 유통되거나, e-book 제품으로 서비스되기도 하므로 이러한 자료에 대한 구독 확대도 고려할 필요 있음 - 학술회의 자료 중에서 전자저널 상품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구독을 통해 전자원문을 확보 - 국내에서 인쇄자료의 학술회의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기관과의 DDS 연계 체제 구축 필요 - 라이센스 구독을 통한 학술회의 제품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협상을 통해 전문(full-text)의 in-house화 부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 1.1.1. 1.1.1. 1.1.1. 학위논문 &#61601; 학위논문은 1단계로 확보되어야 할 주요 콘텐트로서 콘텐트 확보 방안은 <표 IV->에 제시되어 있음 - 국내 학위논문에 대한 수집은 납본법에 의한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외에 각 대학도서관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수행중이며, 각 대학도 개별적으로 메타데이터 및 전자원문 DB를 구축 - 가장 광범위한 메타데이터는 KISTI에서 NDSL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국회도서관의 데이터이며, 전자원문 확보를?는 것이 필요(업무 협약 등 추진 필요) - 해외 학위논문은 영국국립도서관에서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있으므로 메타데이터 구입등의 방안을 고려해야 함. - 북미 중심의 학위논문에 대해서는 ProQuest의 PQDD에 대한 메타데이터롸 전문(full-text)도입을 고려해야 함 - PQDD는 개별기관이 라이센스를 구독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 가격도 고가이기 때문에 특허청의 구독은 예산사정에 따른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필요 - 예산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PQDD중에서 북미 주요대학의 일부 박사논문 전문(full-text)을 제공하는 DDOD를 먼저 구매하고 향후 PQDD를 구매하는 방향을 고려해야 함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