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37
since 2007.04.30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연재23회> 비특허문헌 서비스현황

글쓴이 이범철 작성일 2009.12.02 00:00 조회수 2994 추천 0 스크랩 0
1.1.1. 1.1.1. 1.1.1. 연구보고서 &#61601; 연구보고서는 1단계로 확보되어야 할 주요 콘텐트로서 콘텐트 확보 방안은 <표 iv->에 제시되어 있음 - kisti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발간된 연구보고서의 납본기관으로서 현재 21만건의 연구보고서를 서비스하고 있으므로 메타데이터와 전자원문 해결 - 선진국의 연구개발보고서 중에서 미국은 ntis(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에서 관리하고 있으므로 ntis로부터 메타데이터 및 전자원문을 구매하여 in-house db로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 1.1.1. 1.1.1. 1.1.1. 규격(표준) 1.1.1.1. 국내규격 - 국내규격(ks)는 ndsl에서 서비스 중으로 이를 비특허문헌검색서비스로 통합 1.1.1.2. 국제규격 및 산업규격 - iso 및 iec 규격은 ndsl을 통해 비특허문헌검색서비스로 통합 가능 - 이외에 국제적인 협회, 학회의 규격은 전자저널 상품 라이센스 구독 및 인쇄자료 확보가 필요 - 내용 추가여부 검토해 보기 ( ihs 제작/판매 규격 들... ) 1.1.2. 신문 - 신문 콘텐트는 특허심사에 필요한 가장 최신성 있는 정보로써 해외 선진국 특허청에서는 이미 신문기사를 특허심사에 활용하고 있음 - 국내 신문 콘텐트는 저자권 문제, 메타데이터의 문제, 신문기사는 그 자체가 전문(full-text)라는 문제 등으로 ....와 분리하여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함 - 국내 주요 일간지 및 경제지, 지방지를 서비스하는 한국언론재단의 kinds는 api를 통한 통합검색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 해외 신문 콘텐트는 상용 db provider가 제공하는 신문기사 db에 대하여 주요 검색식을 저장해 놓고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결과를 받는 서비스를 개별 심사관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 1.1.3. 도서 1.1.3.1. 국내 도서 - 서비스 provider 중심으로 기술하기 -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은 납본법상의 납본 기관이므로 온라인 목록을 통합검색으로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도 전국 230여개 대학의 보유도서 종합목록을 운영하고 있으며, ill을 제공하므로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에 비해 해외 학술전문 단행본의 비중이 크다. - 각 provider 들이 제공하는 주요 노드들의 메타데이터들을 논리적, 물리적으로 수집하여 통합 서비스를 한다. (내용 더 정리하기) 1.1.3.2. 해외 도서 - 해외 도서는 e-book core collection의 확충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우선으로 함 - oclc의 worldcat 서비스를 활용하여 통합검색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 함 - oclc ill(interlibrary loan)에 가입하여 제공, 검색 후 바로 구글 북서치나 아마존 혹은 국내 서점으로 연결하여 바로 구매하거나 신청하도록 연계 - 주요 e-book 제품 중에서 전주제분야를 포함하는 oclc netlibrary가 있으며, 기술분야에서는 knovel과 safari tech books online, wiley사의 online books(www.interscience.wiley.com/onlinebooks)와 reference works(www.interscience.wiley.com/reference), springer사의 (http://www.springer link.com/books), gvrl(http://infotrac.galegroup.com/itweb/snu?db=gvrl), oro : oxford reference online (http://www.oxfordreference.com/)도 중요하다. 1.1.4. web db &#61601; 심사관들의 수요가 높은 web db는 주제별로 선정함 &#61601; web db 구독 선정기준을 “무료 > 저가 > 고가의 순”으로 정책을 수립하여 원문을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함 &#61601; 서비스 제공자별로 다양한 구독 및 사용 조건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특허청에 적합한 web db &#61601; 우수한 참증을 위해서는 우수한 stn 등을 ..... &#61601; 특허 심사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web db(csa illustration, ...)를 구독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61601; 특화된 web db,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web db 등.... &#61601; 주요 플랫폼으로는 dialog, stn, questell, csa illumina, oclc firstsearch, ebscohost, proquest 등이 있음 1.1.5. 기타 &#61601; 상품카탈로그, 동향분석정보, 사실정보에 대해서도 기존의 비특허문헌검색서비스와의 통합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61601; 웹사이트는 주제별, 제공처별로 ... 디렉토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웹사이트 access를 위한 자료조직이 필요함 &#61601; 전통적인 문헌 중심의 메타데이터와는 상이한 점이 많고, 서비스나 원데이터의 차이점을 살린 제공방식이 필요함 &#61601; 비특허문헌 콘텐트의 확충을 통한 최종 목적은 특허청에서 라이선스를 확보한 전자원문에 심사관들이 쉽게 접근하게 하거나, 라이선스가 없는 전자원문에는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대체적인 수단을 통해 전자원문 입수를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검색해낸 결과에 대하여 전자원문의 확보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보조도구의 활용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정보제공을 통해서 심사관들의 의사결정을 신속히 지원하고 비특허문헌 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61601; 이러한 보조도구로서 sfx와 같은 context 기반 링킹솔루션의 활용이 필요함 1.1. 1.1. 1.1. 비특허문헌 관리체제 시스템적 측면 최적화 방안 1.1.1. 문헌 관리 방안 1.1.1.1. 인용문헌의 db화 - epo의 비특허문헌 관리체계 중 심사과정에서 심사관들에 의해 요청된 비특허문헌에 대하여 내부 npl db에 서지사항을 등록할 뿐만 아니라 원문을 스캔하여 bns 시스템에 탑재하여 재활용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 일반적으로 학술문헌의 경우 핵심 원천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이 다른 학술문헌에 빈번히 인용되듯이 특허에서 또한 원천기술 특허는 관련 분야의 출원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인용참증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전문 기술분야의 심사를 담당하는 심사관들은 해당 기술분야의 원천기술에 해당하는 특허문서를 개인적으로 관리하여 동일기술 심사시 별도의 검색과정 없이 보유한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심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어왔다. - 따라서 epo에서와 같이 심사에 활용된 비특허문헌 자료들 체계적으로 보관·관리함으로써 심사의 효율성을 재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문서에 대한 중복 신청을 배재함으로써 비교적 고가인 원문확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1.1.1.2. 비특허문헌의 관리 및 식별 체계 구성 심사시 내부적으로 활용되는 비특허문헌을 관리함에 있어 고유의 번호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epo의 경우 ‘xp002916105’와 같이 'xp'로 시작하는 식별자에 9자리의 고정길이 일련번호를 이용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관리하는 ndsl의 경우 ‘25739250’와 같이 변동길이 15자리 일련번호를 이용한다. 위 두 경우, 각 문헌마다 고유의 primary key를 부여하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목적에서는 별 차이가 없을 수 있으나 epo의 search report에 기재된 것과 같이 이용자로 하여금 인용된 문헌이 비특허문헌임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는 문헌의 유형에 따른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이 보다 더 효율적일 것이다. 비특허문헌 고유 식별 체계를 생성함에 있어 xp와 같이 일방적인 식별자를 부여하기 보다는 epo의 npl db에서 정의한 것과 같이 비특허문헌의 유형에 따라 식별자를 구분하여 부여하는 방안도 심?별 식별 체계에 대한 예시는 아래와 같다.\ - xab : abstract - xbo : book - xcp : conference proceedings - xdr : database reference - xir : internet(url) reference - xjr : journal reference - xet : etc 1.1.1.3. 인용정보 기술(dex-scription) 표준화 현행 특허법상 국내특허의 출원서에는 자체적으로 인용정보가 기재되지 않고 심사 착수전 선행기술 조사시 또는 심사시 통지서 작성 단계에서 관련된 인용문헌이 생성된다. 이때 인용으로 사용되는 특허의 경우 해당 국가정보와 고유의 특허번호가 기재되는 반면, 비특허문헌의 경우에는 비정형화된 형태의 간략한 서지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심사관 및 출원인이 해당 비특허인용문헌의 원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지정보를 이용하여 복잡한 검색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정보의 활용성에 많은 제약을 갖는다. 반면 epo 심사관들은 search report 작성시 인용정보를 입력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입력된 내용은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이는 다시 wipo st.36 표준 xml 포맷으로 변환되어 공보에 첨부되도록 되어있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에 정형화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인용정보를 토대로 ip5 정보화 10대 기반과제 중 하나인 공통출원서식에 곧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특허의 인용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선행기술조사보고서 및 통지서 작성시 비특허인용문헌의 서지입력항목을 정형화할 필요가 있으며, epo patxml의 비특허문헌 서지입력 소프트웨어와 같이 문헌유형별 입력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이의 사용을 의무화 할 필요가 있다. 입력되는 인용문헌의 서지정보는 비특허문헌을 통합 관리하는 kipo-npl 마스터 db에 축적되고 고유식별번호로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epo의 inpadoc npl file layout과 같이 비특허문헌의 서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표준 xml 포맷을 준용함으로써 국가간 데이터 협력이 수월할 것이다. 1.1.1. 1.1.1. 1.1.1. 비특허문헌 활용 방안 1.1.1.1. 온라인 방식 통합검색을 통한 전자원문서비스 메타검색을 통한 전자원문서비스 웹자료 조직을 통한 전자원문서비스 1.1.1.2. 오프라인 방식 &#61601; dds 서비스 최적화 방안 - 현재 원문복사 서비스는 평균 5일이 소요되어 즉시성을 요구하는 심사 업무의 속성상 활용도가 낮다. - - - 전자저널 구독 범위를 확대하여 심사업무를 편리하게 개선할 수는 있으나 상당한 규모의 추가 예산을 필요로 하므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문복사서비스를 통해 원문확보 강화가 필요하다 - dds rush-net(가칭) 운영 심사관들이 필요로 하는 비특허문헌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문을 복사해주는 서비스로서 주요 거점 도서관을 지정하고 dds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특허청 도서관을 중심으로 자료공유협력을 위한 협의체 구성함으로써 원문확보의 신속성을 꾀할 수 있다. 자료공유협력을 위한 협의체 구성은 kisti, kaist, 연세대, 고려대, 원자력연구소, 포항공대 등과의 협의하여 추진하면 바람직 할 것이며 rush-net 운영은 kisti의 dds 시스템을 활용하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e-dds 이용자에게 전자원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서비스로서 공급사와의 지속적인 협상을 통한 e-dds 확대해 나갈 것이다. 현재 kisti가 600만 건의 전자원문 확보하여 e-dds 협상 중에 있으며 e-dds가 실현될 경우 심사관들의 비특허문헌 활용도가 획기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61601; ill 1.1.1. 콘텐트별 조직 및 검색 최적화 방안 효율이 낮은 전문 검색 대신에 목차 색인, 전문 검색 등. 방안 - it를 활용한 조직 방식 ==> 전문 db의 in-house db화가?적 측면 최적화방안 1.1.1. 특허청 도서관 강화 1.1.1.1. 전자자료 관리 현황 - web db stn : 해당 국에서만 구독하여 사용하고 있음 - 도서요약서비스(도서관업무) : 2007년 12월까지 - 전자저널 - e-book 등 reference collection - 웹에 있는 전자저널/webdb 리스트로 보여주는 것 정도만 관리 1.1.1.1. 1.1.1.1. 1.1.1.1. 인쇄자료 관리 현황 및 방안 - 단행본은 교양도서, 지재권 관련만 구독 - 볼케이노 marc 데이터 입력, 지재권 분야 저널 목차 입력 - 연차별 자료구입현황(‘09. 1) ※ 단행본 유형 : 과학기술도서, 지식재산권관련자료, 특허청 발행 간행물, 정부 및 연구소 발행 간행물, 교양도서 1.1.1.1. 1.1.1.1. 1.1.1.1. 비도서자료 관리 현황 - 국내잡지(pc 사랑, hello pc 등) 구독시 부록물, 특허속보, 문헌속보, wipo 통계 등 각종 통계 자료 - 비도서자료로 별치 서비스 - 오프라인 소장자료의 활용(cd-net 서비스) - ca on cd등 화학분야의 요구사항이 많음 - 현재 탑재되지 못한 데이터 및 미 업데이트 분에 대한 요구사항 - 데이터와 관련된 라이선스 문제 등 - 인쇄저널의 자체 디지털 복제를 통한 내부활용에 제동(저작권 문제) - 자료 보유현황 (‘09. 1 ) 1.1.1.1. 1.1.1.1. 1.1.1.1. 조직 발전 방향 특허청 조직도 중에서 정보기획국 산하 정보관리과에 포함되어 있다. 각국 특허청의 도서관 관련 조직현황을 살펴보면 <표 >와 같다. 각국은 자국의 현황에 맞는 특허정보의 원자료 수집 및 유통 업무와 특허 및 비특허문헌을 디지털화하고, 이렇게 구축된 in-house db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조직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특허청 도서관은 업무현황을 살펴볼 때 정보관리과의 일부 파트로서 1차자원의 수집 및 제공업무만을 담당하고 있다. 각국의 국력과 특허 출원건수 및 처리 건수 등의 지표를 고려하여야 하겠지만, 한국특허청의 조직 및 기능은 매우 열악한 수준으로서, 특허 및 비특허문헌의 수집 및 보관에만 제한되어 있다. 조직의 문제는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선진국 특허청을 사례를 대상으로 정보검색서비스의 수행 및 자원확보, 유통 등의 업무 범위와 확대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가장 효율적인 조직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에서 제안하는 특허청 도서관의 현재의 담당 업무와 향후 업무에 대한 제안내용은 <표 >와 같다. 도서관의 업무가 향후의 방향으로 확장된다면 조직적인 확장 및 독립부서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1. 1.1.1. 1.1.1. 비특허문헌 전문기관과의 협력 체계 구축 1.1.1.1. 비특허문헌 서비스 전문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 &#61601; 추진목표 - 비특허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수립 및 관리를 위해 유관 전문기관과의 상호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61601; 추진전략 - 특허청과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유관 전문기관을 선정하여 상호 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 비특허문헌 서비스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특허청과 전문기관과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협력 체계를 추진한다. &#61601; 세부 추진 과제 - 특허청은 비특허문헌 서비스 전문기관 활용 정책을 수립하고, 비특허문헌 서비스 전문기관은 비특허문헌 활용 정책 수립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역할 정립을 위한 정책 및 및 각각의 역할 지침을 수립한다. 1.1.1.1. 1.1.1.1. 1.1.1.1. 거점도서관을 활용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61601; 추진목표 - 국내 주요 도서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심사관들이 필요로 하는 비특허문헌을 신속히 획득할 수 있는 거점도서관을 활용한 협력네트웍을 구축하여야 한다. &#61601; 추진전략 - 비특허문헌 서비스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협력할 수 있는 거점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주요기관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상호 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 거점도서관 선정은 원문확충의 방안의 일환인 원문제공서비스(x-document delivery service, dds) 협력 기관과 연계하여 추진한다. &#61601; 세부 추진 과제 - 거점도서관을 활용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 및 각각의 역할 지침을 수립한다. - 거점도서관은 상호 협약 내용을 기반으로 특허청 심사관들의 비특허문헌 획득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역할 : 정해진 예산 범위 안에서 신속한 원문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추진한다. - 거점도서관을 활용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소, 포항공과대학교 등과의 협의하여 추진한다. 1.1.1. 1.1.1. 1.1.1. dds 서비스 최적화 방안 1.1.1.1. 원문서비스 현황 현재 원문복사 서비스는 평균 5일이 소요되어 즉시성을 요구하는 심사 업무의 속성상 활용도가 낮다. 1.1.1.1. 1.1.1.1. 1.1.1.1. 개선방안 전자저널 구독 범위를 확대하여 심사업무를 편리하게 개선할 수는 있으나 상당한 규모의 추가 예산을 필요로 하므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문복사서비스를 통해 원문확보 강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61601; dds rush-net(가칭) 운영 심사관들이 필요로 하는 비특허문헌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문을 복사해주는 서비스로서 주요 거점 도서관을 지정하고 dds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특허청 도서관을 중심으로 자료공유협력을 위한 협의체 구성함으로써 원문확보의 신속성을 꾀할 수 있다. 자료공유협력을 위한 협의체 구성은 kisti, kaist, 연세대, 고려대, 원자력연구소, 포항공대 등과의 협의하여 추진하면 바람직 할 것이며 rush-net 운영은 kisti의 dds 시스템을 활용하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61601; e-dds 이용자에게 전자원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서비스로서 공급사와의 지속적인 협상을 통한 e-dds 확대해 나갈 것이다. 현재 kisti가 600만 건의 전자원문 확보하여 e-dds 협상 중에 있으며 e-dds가 실현될 경우 심사관들의 비특허문헌 활용도가 획기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