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37
since 2007.04.30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연재24회> 비특허문헌 서비스현황

글쓴이 이범철 작성일 2009.12.02 00:00 조회수 2921 추천 0 스크랩 0
1.1. 1.1. 1.1. 글로벌 협력 방안 1.1.1. 비특허 인용문헌 정보연계 심사과정에서 비특허문헌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wipo에서는 비특허인용문헌의 서지정보를 정리한 jopal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배포해 왔으나 최근 epo의 npl 데이터베이스가 그 위치를 대체하는 추세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epo의 방대한 비특허문헌 in-house 데이터베이스 구축량 및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현재 ip5 국제협력과제로 추진 중인 공통검색db(common x-documentation database)사업이 epo에서 주도하는 사업임을 감안하면 공통검색db의 비특허문헌 부문은 epo의 npl 데이터베이스를 근간으로 구축될 것으로 보여진다. 즉 epo의 비특허문헌 관리번호인 xp번호가 국제적으로 통용될 것이므로 한국 특허에서 인용으로 활용된 비특허문헌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 정비 및 관리번호 연계가 필요하다. 향후 한국 특허청에서 심사시 사용되는 비특허문헌 db의 근간이 ndsl 데이터임을 고려할 때 epo npl 데이터베이스의 xp번호와 ndsl의 고유번호간 매핑정보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kisti에서는 epo npl 비특허 인용문헌의 약 40%에 대하여 ndsl의 관리번호와 매핑을 완료한 단계이며 나머지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작업을 통하여 국내 비특허문헌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동시에 기 작성된 선행기술조사 보고서 및 통지서에 인용된 비특허문헌 정보의 정비작업을 수행하여 입력형식을 표준화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1.1.1. 1.1.1. 1.1.1. 전자정보 공동 라이선스 방안 1.1.1.1. 국내 전자정보 공동 라이선스 사례 &#61601; 국가전자정보공동구매컨소시엄(kesli) - 국내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국가전자정보공동구매컨소시엄(kesli, korean electronic site license initiative)를 운영하고 있다. - kesli (korean electronic site license initiative)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의 교육기관, 연구기관, 기업체 등의 각급 기관을 대상으로 전자정보의 공동구매를 추진하여 국가적으로 전자정보의 도입 수준과 범위를 파격적으로 제고시키기 위하여 2000년부터 시작된 국가 컨소시엄이다. - kesli는 전자저널 공동구매를 위해 2000년부터 시작된 국가차원의 컨소시엄으로, 2008년 12월 기준 390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구독 전자저널은 총 138개 컨소시엄 15,051종에 달하고 있다. - kesli 컨소시엄은 전자저널의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제고시키고, 도서관간의 자원 공동 활용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모델이다. - kesli는 첫째, 출판사와의 컨소시엄 구독비용 등 제반조건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둘째, 전자저널 통합서비스에 필요한 학술저널 논문 메타 데이터와 소장정보 수집 채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셋째, 전자저널 이용의 영속성을 담보하고 새로운 부가가치 서비스 창출을 위해 디지털 아키이빙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전자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구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월현재)컨소시엄 6122731445773899793참가기관 160223259276299324317381390349표. 년도별 컨소시엄 구성현황 &#61601; &#61601; &#61601; 국가전자정보공동구매컨소시엄(kesli) 기대효과 - 동일 비용으로 다량의 전자정보(전자저널, web db, e-book 등) 구독 및 비용 절감 - 도서관 협력 네트워크가 구성됨으로써 기관간 협력이 효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1.1.1.1. 추진 방안 - 각 국가별 전자정보 공동라이선스 추진 기관과?의 심사를 위한 비특허문헌 공동 라이선스 모델 개발 - kesli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ip5의 비특허문헌 공동 라이선스를 추진을 위한 ip5 공동 라이선스 컨소시엄 모델 개발 - ip5(한, 미, eu, 일, 중) 특허청간 비특허문헌 활용 관련 업무협력, 공유협력 체계 수립 - 전자정보공동구매를 위한 ip5 상호 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 kesli 기반 전자정보공동구매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한다. - ip5 공동 라이선스 추진을 위한 지적재산권 관련 제도 수립한다. - 커뮤니티 운영 : 각 국가별 특허문헌활용 사례 공유 및 증례 발표 프로그램 개발 등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전다음글목록
이전글 이전글 등록된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 <연재23회> 비특허문헌 서비스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