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0ltotal 3526
since 2005.07.07
RSS Feed RSS Feed

자료실

게시판상세

디자인 관련 정부부처 한국엔 왜 그렇게 많나요

글쓴이 김현범 작성일 2008.01.25 00:00 조회수 2461 추천 0 스크랩 0
"디자인 관련 정부부처 한국엔 왜 그렇게 많나요” 크리스틴 로스캣 영국 무역투자청 고문 [출처] 조선일보 2007.12.14 김미리 기자 miri@chosun.com 영국은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장을 연 나라로 불린다. 정부 주도의 효율적인 정책으로 예술에 머물렀던 디자인을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육성했기 때문이다. 이 ‘디자인의 나라’에서 정부의 핵심 디자인 정책을 자문하고 디자인의 해외 진출을 이끌고 있는 크리스틴 로스캣(Christine Losecaat) 영국 무역투자청(UK Trade & Investment) 크리에이티브(Creative) 산업 고문이 방한했다. 로스캣 고문은 영국 정부의 동아시아 디자인 산업 교류 총책임자로서 한국 대기업과 디자인계 인사들과의 네트워크도 두텁다. 그녀가 한국 디자인 산업과 정책에 고언(苦言)을 쏟아냈다. O 현재 한국 디자인 정책의 문제점을 꼽으라면. “디자인 관련 정부 부처가 너무 많다. 산자부, 문광부, 건교부, 행자부 등 4개 이상의 부처가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다. 난센스다. 디자이너가 정확한 담당자(right person)를 찾는데 시간을 다 보낸다. 영국의 경우 ‘디자인 카운슬(Design Council)’이 있어 정부와 기업, 디자이너를 효율적으로 엮어준다. 한국도 담당 부처의 교통 정리가 필요하다.” O 한국 기업의 디자인을 보면서 느낀 점은?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디자인 갭이 존재한다. 이제 ‘넥스트(next) 삼성, 넥스트 LG’를 생각해야 할 때 아닌가. 대기업의 ‘인하우스 디자인 시스템’(회사 내에 디자이너가 소속돼 있는 형태)이 바뀌어야 한다. 영국도 1950년대엔 P&G, 유니레버 등 안정적인 대기업 소속의 디자인센터가 각광 받았지만, 지금은 독립적인 디자인 컨설팅 회사 위주로 디자인 주체가 바뀌었다.” O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 디자인 감각이 뒤처진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디자인도 결국 교육이다. 영국에서는 12살 때부터 교과과정으로 디자인(Design & Technology)을 배운다. 디자인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 체득하고 상상력을 키운다. 변호사, 은행원이 되어도 디자인이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된다.”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디자인은 ‘예술’이고, 영국에서는 ‘산업’인 것 같다. 어떤 차이가 있는가. “영국 디자인 회사들은 독특한 판매 포인트가 있다. 디자인의 효과를 계량화시켜 보여주는 거다. 가슴으로 외치는 디자인이 아니라, 머리로 생각하는 실용적인 디자인이다. 기업의 리더들도 수치를 보며 디자인의 마케팅 효과를 실감한다.” O 디자인 정책으로 제언할 아이디어가 있다면. “중국에 가서 훌륭한 디자인 제품의 디자이너를 물어보면 상당수가 한국 디자이너가 만든 거라고 답한다. 정작 한국에서는 그런 실력 있는 디자이너를 모른다. 그들은 한국의 ‘디자인 외교관’이다. 정부는 이런 디자이너를 발굴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영화·드라마에서 벗어나 디자인에도 ‘한류’를 만들어야 한다.”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