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건설기술정보시스템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DBpia(학술정보 통합서비스) 한국건설품질연구원

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이동

카운터

today 1ltotal 4483
since 2014.05.09
RSS Feed RSS Feed

특허뉴스

게시판상세

[IP노믹스] 한국 특허 환경 11위...미국 GIPC 발표

글쓴이 이재욱 작성일 2016.03.23 07:17 조회수 2301 추천 0

[IP노믹스] 한국 특허 환경 11위...미국 GIPC 발표

 

한국 특허 환경이 세계 11위라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특허 출원은 세계 5위권이지만 보완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과 상표권, 영업비밀 등을 포함한 전체 지식재산(IP) 관련 평가는 세계 10위로 집계됐다. 

 

한국 지식재산 분야별 세계 경쟁력 비교 / 자료 : 미국 GIPC<한국 지식재산 분야별 세계 경쟁력 비교 / 자료 : 미국 GIPC>
 
한국 GIPC 전체 순위 / 자료 : 미국 GIPC<한국 GIPC 전체 순위 / 자료 : 미국 GIPC>
 

◇특허 환경, 38개국 중 11위 
 

미국 상공회의소 산하 글로벌지식재산센터(GIPC)가 최근 발표한 `2016년 국제지식재산지수`를 보면 우리 특허 환경은 7점 만점에 5.85점을 획득, 38개국 중 11위를 차지했다. 미국과 영국 등 7개국이 6.5점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6.3점으로 8위, 중국은 4.1점으로 17위를 차지했다.

 

한국 IP 분야별 순위 / 자료 : 미국 GIPC<한국 IP 분야별 순위 / 자료 : 미국 GIPC>
 

 

일곱 개 항목을 평가하는 특허 환경 지수에서 한국은 △특허권 보호기간 △컴퓨터로 구현하는 발명의 특허 적격성 △특허제품·기술 관련 강제실시권의 입법 기준·이용 △의약품 관련 특허존속기간 연장 네 항목에서 만점(1점)을 받았다. 

하지만 △특허요건(0.75점) △규제적 데이터 보호기간(0.6점) △의약품 관련 특허집행·해결방안(0.5점) 등에서 약점을 노출했다. 조사대상국에 처음 포함된 지난 2015년과 비교하면 특허요건이 0.5점에서 0.75점으로 올랐지만 의약품 관련 특허집행·해결방안과 규제적 데이터 보호기간 등은 제자리 걸음이다.

 
 
 
 
작년 5월 중국 쑤저우 PESC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8차 IP5 청장회의`에서 5개국 관계자들이 공동선언문 채택 후 자리를 함께 했다. (왼쪽부터 존 샌디지 세계지식재산기구 사무차장, 키하라 요시타케 일본 특허청 차장, 베누아 바티스텔리 유럽특허청장, 션창위 중국 특허청장, 최동규 한국 특허청장, 러셀 슬라이퍼 미국특허청 차장)

<작년 5월 중국 쑤저우 PESC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8차 IP5 청장회의`에서 5개국 관계자들이 공동선언문 채택 후 자리를 함께 했다. (왼쪽부터 존 샌디지 세계지식재산기구 사무차장, 키하라 요시타케 일본 특허청 차장, 베누아 바티스텔리 유럽특허청장, 션창위 중국 특허청장, 최동규 한국 특허청장, 러셀 슬라이퍼 미국특허청 차장)>

 

 

특히 올해 GIPC 조사대상국에 작년(30개국)보다 8개국이 추가되면서 한국 특허 환경은 총점이 0.25점 높아졌지만 순위는 9위에서 11위로 밀렸다. 올해 조사대상국에 포함된 스웨덴(공동 1위)과 이탈리아(9위)가 한국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체 IP 환경은 10위 

저작권과 상표권 등을 포함한 전체 IP 환경은 10위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저작권 8위 △상표권 1위 △??약 가입·비준 13위 등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저작권은 6점 만점에 4.74점을 획득했다. △저작권 등 권리 침해 방지용 독점권 부여 법적 조치 △온라인 불법복제 대응용 협력 활동 증진 제도 △디지털 저작권 관리 규정 등은 만점을 받았다. 반면에 △저작권 등 보호기간(0.74점) △저작권 등 권리 제한·예외 범위(0.75점) △정부 정보통신기술(ICT) 체제용 특허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련 지침 및 정책의 명확한 수립(0.25점) 등에서는 감점을 받았다.

2점 만점인 영업비밀·시장진입은 작년(1.5점)보다 하락한 1.25점을 기록했다. 영업비밀 보호는 0.75점으로 지난해와 같지만 시장진입장벽이 작년(0.75점)보다 0.25점 낮은 0.5점을 기록했다. 해당 항목이 11위에서 17위로 하락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 지식재산 분야별 점수 / 자료 : 미국 GIPC<한국 지식재산 분야별 점수 / 자료 : 미국 GIPC>
 

 

◇GIPC “정부기관 SW 라이선스·영업비밀 등 보완해야” 

GIPC는 한국 IP 환경 강점으로 △빠른 정책 집행 △견고한 상표보호법 체계·집행 △잘 정비된 온라인 저작권 체계 등을 꼽았다. 그 대신 한국이 IP 환경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려면 영업비밀 보호를 보완하고 정부기관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더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조사대상국이 공개한 자료에 기반을 두고 IP 환경을 측정·평가한 GIPC 보고서는 국가별 양자·다자회담에 참고자료로 쓰일 정도로 공신력을 평가받는 자료다. 조사 발표는 올해가 네 번째다. 한국은 세 번째 평가인 지난 2015년부터 조사대상국에 포함됐다. 2015년에는 한국의 전체 IP 환경이 30개국 중 8위로 평가받았다.

※상세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추이기종 IP노믹스 기자, gjgj@etnews.com, ETNEWS

URL : http://www.etnews.com/20160322000065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