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건설기술정보시스템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DBpia(학술정보 통합서비스) 한국건설품질연구원

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이동

카운터

today 1ltotal 4483
since 2014.05.09
RSS Feed RSS Feed

특허뉴스

게시판상세

특허청 "한·중·일 등 亞3강 PCT 국제출원 성장세"

글쓴이 이재욱 작성일 2016.04.19 07:18 조회수 2044 추천 0

특허청 "한·중·일 등 亞3강 pct 국제출원 성장세"

 

 

2015년 pct 국제출원 상위 10개 출원국 © news1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주요 국가의 pct* 출원이 지난 한 해 큰 폭의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특허청에 따르면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 pct 국제출원은 2014년도에 비해 1.7% 증가한 21만8000건(잠정치)이 출원됐다.

국가별로는 미국 1위(5만7385), 일본 2위(4만4235), 중국 3위(2만9846), 독일 4위(1만8072), 대한민국 5위(1만4626)의 순으로 집계됐다.

2015년도 다출원 국가 순위는 전년과 비교해 변동이 없지만 2014년 대비 출원 증가율 면에서 보면 한국, 중국, 일본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미국은 2014년에 비해 6.7% 감소했고, 독일 및 6위 프랑스도 각각 0.5%, 2.6% 증가에 그쳤다.

반면, 2014년 대비 중국의 출원 증가율은 16.8%에 달했으며 우리나라도 11.5%에 이르는 두 자리 수 성장세를 보였다. 일본은 4.4% 증가로 두 나라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미국, 독일에 비해서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pct 국제출원에서 아시아 3강은 해가 갈수록 출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2013년도에 37.9%를 차지했던 한·중·일의 pct 국제출원 비중은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5년에 40.7%로 올라갔다. 

이러한 경향은 2015년 세계 10대 pct 다출원 기업 안에 한·중·일 기업이 총 6개 들어가 있는 것만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삼성전자가 4위, 엘지전자가 7위로 다출원 기업에 올랐으며 중국의 화웨이는 2014년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특허청 윤종석 국제출원과장은 “지식기반 사회의 핵심은 지식재산권의 확보 및 활용에 있으며 pct 국제출원은 해외 특허 확보 시에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제도 중의 하나”라고 강조했다.

또  “pct 국제출원을 통해 우리나라의 우수한 기술 및 연구 성과가 더욱 활발히 해외에서 특허 권리화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적극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pct 국제출원 : 특허협력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을 이용한 특허출원으로서 출원인이 자국특허청에 특허출원서를 제출하면 해외 조약국의 국내출원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 2016년 4월 현재 148개국이 가입돼 있다.

출처 : 박찬수 기자(pcs4200@),  뉴스1

url : http://news1.kr/articles/?2637152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