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건설기술정보시스템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DBpia(학술정보 통합서비스) 한국건설품질연구원

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이동

카운터

today 1ltotal 4483
since 2014.05.09
RSS Feed RSS Feed

기술동향

게시판상세

물고기가 돌아왔다! 올해 7곳 생태하천 재탄생

글쓴이 이재욱 작성일 2016.07.20 15:42 조회수 2012 추천 0

물고기가 돌아왔다! 올해 7곳 생태하천 재탄생

경기도, 2016년 생태하천복원사업에 1,463억 원 투입

 

    

양주시 신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조감도

올해 경기도 내 하천 7곳이 생태하천으로 재탄생된다.

경기도는 올해 총 1463억 원을 투입해 15개 시?군 25개 하천(125km)에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은 각종 개발행위로 물이 마르는 등 생태 균형을 잃은 도심하천을 훼손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업은 물을 공급해 하천수량(水量)을 증가시키고, 동·식물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등 자연적 자정기능을 회복한 건강한 하천으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올해 생태하천으로 거듭나는 도내 하천은 부천 심곡천, 남양주 왕숙천, 화성 발안천, 양주 덕계천, 안성 청미천, 포천 포천천(2), 오산 오산천 등 7곳이다.

도에 따르면 생태하천복원사업을 마친 하천에서 수질 개선, 생태계 회복 등 좋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도는 생태복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업 준공 후 약 5년 간 생물종류와 개체 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모니터링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완공된 남양주 묵현천 등 11개 하천의 평균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는 준공 전 6.9ppm(mg/ℓ)에서 3.5ppm으로 개선됐다. 6ppm 이상은 어류가 살기 어려운 4급수이며, 3.5ppm은 잉어, 붕어, 미꾸라지 등이 서식할 수 있는 3급수 중에서도 깨끗한 수준이다.

또한 지난 2012년에 생태하천복원사업을 마친 용인시 경안천에는 멸종위기종인 수달과 흰목물떼새가, 2013년 사업을 완료한 안성시 금석천에는 천연기념물인 원앙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 복원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금석천에는 복원사업 전 붕어, 피라미, 미꾸라지 등 3종에 불과하던 물고기가 현재 한국 고유종인 얼룩동사리 등 7종으로 늘어난 것이 확인됐다.

한편, 도는 생태하천복원사업을 통해 하천의 생태계 복원뿐 아니라 사업구간에 생태관찰·체험 시설 및 생태탐방로를 조성하는 등 하천을 도민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복원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2019년까지 11개 시·군 19개 하천에 약 1887억 원을 추가 투입해 하천 생태계 복원과 수질개선에 기여하고, 경기도수 있도록 전파할 계획이다.

 

생태하천복원사업 올해 예산과 향후투자계획

출처 : 김천규 기자,  kck@cenews.co.kr, 토목신문

URL : http://www.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82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댓글목록
이모티콘 강민구 2016.08.02 11:3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