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활동

guest [손님]
연구회 가입하기

연구회 태그 펼치기/숨기기 버튼

카운터

today 1ltotal 4502
since 2006.06.07
RSS Feed RSS Feed

새소식

게시판상세

국내 항암 후보물질 특허 제품화 성공률 0.3%, 국가 주도의 개발사업 절실

글쓴이 관리자 작성일 2008.03.24 00:00 조회수 2140 추천 0 스크랩 0
"국내 항암 후보물질 특허 제품화 성공률 0.3%" 국립암센터 "국가 주도의 개발사업 절실" 지난 30년 간 항암제 분야에서 특허등록된 국내암치료제 후보물질특허 중에서 실제 제품개발에 성공한 경우는 1천건 중에서 3건에 불과한 만큼 국가 주도의 개발사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립암센터 이진수 연구소장은 최근 경기도 고양시 국립암센터 연구소 강당에서열린 '항암치료제 개발 워크숍'에서 '항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가교적 개발사업(B&D)'이란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이 소장에 따르면 1977년부터 2007년까지 30년간 등록된 항암치료 후보물질특허는 전체 937건이었으나 거의 대부분은 전(前)임상 단계를 넘지 못했으며, 제품화에 성공하는 것은 겨우 3건에 그쳐 0.3%의 상품화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국산 신약으로 출시된 의약품은 13개 정도이며, 이 중에서 암 분야 신약은 위암치료제 선플라워 주(SK케미칼), 간암치료제 밀리칸 주(동화약품), 난소.폐암치료제 캄토벨 주(종근당) 등 3종이지만, 아직까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 소장은 "암치료제 등 신약개발에는 오랜 기간에 걸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영세한 국내 제약기업 단독으로는 힘들다"며 "따라서 항암치료제 개발을 통한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21세기 국부 창출을 위해서는 국가가 개발비를 투자해 산업화로 이끄는, 국가주도의 개발사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실제로 미국은 1971년 닉슨 대통령이 암을 국가적 문제로 규정하고 암을 극복하기 위해 국립암연구소(NCI)를 통해 체계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하면서 신규 항암제들이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거둬들인 국가수익은 무려 1천조원에 이른다"고 소개했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는 자동차나 조선업에 처음 뛰어들었을 때보다 훨씬 앞선 신약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미국처럼 국립암센터와 같은 국가기관을 중심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소, 대학, 벤처기업 등이 참여하는 국가암치료제개발 사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충청일보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이모티콘 이모티콘 펼치기
0/4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