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위조상품 신고포상금제도 운영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위조상품 신고포상금 제도 운영 : ‘위조상품 신고 포상금 지급 규정’(특허청훈령 제1162호, 2024.04.08.시행)(이하 ‘규정으로 표기)

포상금 규정보기 다운로드 신청서 받기 다운로드

위조상품 신고포상금제도 운영

특허청에 등록되었거나 국내에 널리 알려진 타인의 상표를 도용하여 위조상품을 제조하는 자 또는 그 제품을 유통하는 자를 신고할 경우 신고인에게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목적

위조상품의 불법성에 대한 국민의 주의 환기 및 지식재산권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제고

지급대상

  • 위조상품 제조·판매 등을 한 자를 특허청에 신고하고 그 신고내용이 특허청이 위반자를 단속하는데 기여한 신고 중 아래에 해당하는 사건의 신고자를 포상금 지급대상자로 한다.
  • 적발금액이 3억 원 이상이고 검찰에 기소의견 송치된 사건의 신고자

    ※ 적용법규 : 상표법 제230조,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제1호 가목 위반(「상표법」제2조제1항제10호에 따른 등록상표에 관한 것으로 한정)

  • 포상금 지급이 제한되는 신고
    • 구두로만 신고한 경우
    • 이미 조사ㆍ수사 중이거나 또는 기조치된 사항에 대하여 신고한 경우
    • 신고자인 상표권자 또는 전용사용권자와 피신고자 간에 피해 보상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 특허청, 검찰청, 경찰청, 관세청공무원이 신고한 경우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공공기관 종사자가 직무상 인지하여 신고한 경우
    • 포상수혜를 목적으로 사전공모 등 부정하게 신고한 경우
    • 온라인에서 판매·유통되는 위조상품 제보시 증거물품 또는 증거물품의 구입내역을 제출하지 않은 경우
    • 익명이나 가명 또는 타인의 명의로 신고한 경우

지급규모 및 기준

1건당 지급기준

지급규모 및 기준 (1건당 지급기준) 표

지급규모 및 기준 (1건당 지급기준) 정보를 제공하며, 적발금액, 포상금액으로 구성됩니다.

적발금액 1) 포상금액
3억 원 이상 10억 원 미만 100만원
10억 원 이상 20억 원 미만 200만원
20억 원 이상 100억 원 미만 300만원
100억 원 이상 200억 원 미만 500만원
200억 원 이상 500억 원 미만 700만원
500억 원 이상 1,000만원

1) 상품 물량(판매수량 + 재고량) × 정품가격을 기준으로 함

지급한도 : 포상금 수령인 1인당 연간 2회, 1천만 원 이하

  • 포상금은 연간 포상금 예산 한도내에서 지급
  • 포상금 예산이 부족한 경우에는 다음 연도로 이월하여 지급

포상금 신청

  • 신청기한

    특허청이 신고사건을 검찰에 기소의견 송치한 날로부터 5개월 이내

  • 구비서류
    • 위조상품 신고포상금 지급 신청서 1부
    • 신고인의 신분증 사본, 본인 통장 사본 각 1부
  • 신청방법
    • 구비서류를 특허청 상표특별사법경찰과 위조상품신고포상금담당자 앞으로 등기우편 송부
      (신청서류의 보안 및 도달확인을 위하여 fax 및 일반우편제출은 지양)
    • 보내실 곳 :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둔산동) 정부대전청사 4동 상표특별사법경찰과 위조상품신고포상금 담당자 앞
    • 포상금 신청/신청방법/연락처 : 042-481-5812

지급 절차

  • (신고인) 포상금 지급신청서 및 구비서류 제출
  • (특허청) 신청서 접수
  • (특허청) 사건을 처리한 수사관이 신고인, 적발금액, 처분결과(일자) 등을 내부결재
  • (특허청) 지급여부 결정(상표특별사법경찰과) → 특허청 재무관에게 포상금 지급 요청
  • (특허청) 지급결정서 통보(상표특별사법경찰과), 포상금 계좌 이체(특허청 재무관)
    포상금 지급 규정에 미달시에는 지급불가 결정통보

연락처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