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웨어러블용 섬유형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하는 전해질을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진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섬유형 배터리 전해질에 소량의 첨가제를 활용하여 이온 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첨가제로 사용한 유기 분자인 4하이드록시 템포가 고분자 내부에서 이온 이동성을 대폭 개선하여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기존 대비 17배 향상되었습니다. 이 기술로 섬유형 배터리의 한계점인 낮은 이온 전도도를 개선하여 충전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였으며, 8000번을 구부려도 성능이 91퍼센트 유지되는 강한 유연성과 내구성을 확인했습니다.
두 번째, 전자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중앙대학교, 서울대학교 연구진이 무음극 전고체 배터리 소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연구진은 은 이온을 활용하여 초기 충전 시 리튬 음극을 스스로 형성하는 고에너지 밀도 무음극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무음극 배터리는 흑연 등 음극재를 사용하지 않아 부피와 질량이 감소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는 차세대 기술로 꼽히지만, 리튬의 불균일 형성 또는 덴드라이트 문제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여기서 덴드라이트란, 리튬이 음극에 나뭇가지 형태로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불필요한 결정체를 의미합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은을 도핑한 고체 전해질을 적용해 음이온이 덴드라이트 생성을 차단하고 리튬 금속이 음극집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에너지 밀도 구현을 입증했습니다.
세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화학연구원에서 배터리 폭발을 막는 박막 보호막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연구원은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고 리튬 이온 흐름을 유도하여 전지의 안정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박막 보호막 전사 인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고체 고분자와 세라믹을 복합한 얇고 균일한 막을 리튬 금속 표면에 정밀하게 전사하여 전해질과의 불필요한 반응을 막아 단락 및 열폭주 위험을 줄여 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상담센터(1544-808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