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이차전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이차전지 분야 이미지
다음은 이차전지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웨어러블용 섬유형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하는 전해질을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진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섬유형 배터리 전해질에 소량의 첨가제를 활용하여 이온 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첨가제로 사용한 유기 분자인 4하이드록시 템포가 고분자 내부에서 이온 이동성을 대폭 개선하여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기존 대비 17배 향상되었습니다. 이 기술로 섬유형 배터리의 한계점인 낮은 이온 전도도를 개선하여 충전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였으며, 8000번을 구부려도 성능이 91퍼센트 유지되는 강한 유연성과 내구성을 확인했습니다.
두 번째, 전자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중앙대학교, 서울대학교 연구진이 무음극 전고체 배터리 소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연구진은 은 이온을 활용하여 초기 충전 시 리튬 음극을 스스로 형성하는 고에너지 밀도 무음극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무음극 배터리는 흑연 등 음극재를 사용하지 않아 부피와 질량이 감소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는 차세대 기술로 꼽히지만, 리튬의 불균일 형성 또는 덴드라이트 문제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여기서 덴드라이트란, 리튬이 음극에 나뭇가지 형태로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불필요한 결정체를 의미합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은을 도핑한 고체 전해질을 적용해 음이온이 덴드라이트 생성을 차단하고 리튬 금속이 음극집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에너지 밀도 구현을 입증했습니다.
세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화학연구원에서 배터리 폭발을 막는 박막 보호막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연구원은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고 리튬 이온 흐름을 유도하여 전지의 안정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박막 보호막 전사 인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고체 고분자와 세라믹을 복합한 얇고 균일한 막을 리튬 금속 표면에 정밀하게 전사하여 전해질과의 불필요한 반응을 막아 단락 및 열폭주 위험을 줄여 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이차전지) 전해질 관련 기술 특허동향 분석 이미지
이차전지 분야의 전해질 관련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요 국적별 시계열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2014년 1376건에서 2018년 2424건, 2020년 2709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2년 3930건, 2023년에는 4245건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은 전 세계 기준으로 한국의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이 2321건으로 9.3퍼센트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삼성SDI 852건 3.4퍼센트, 일본의 도요타 816건 3.3퍼센트, 중국의 CATL 802건 3.2퍼센트, 일본의 파나소닉 580건 2.3퍼센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이 2321건으로 42.7퍼센트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삼성SDI 852건 15.7퍼센트, 삼성전자 317건 5.8퍼센트, 현대자동차 294건 5.4퍼센트, SK온과 SK이노베이션 236건 4.3퍼센트 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