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첨단로봇·제조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첨단로봇·제조 분야 이미지
다음은 첨단로봇 제조 분야입니다.
첫 번째, 로봇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덴마크 유니버셜 로봇은 자동차 산업 등 공간 제약이 심한 산업에 적합하도록 궤적 제어를 정밀화한 로봇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협동 로봇에는 새로운 모션 제어 기술인 모션플러스가 적용되어 정밀한 제어와 일관된 정확도를 보장하며, 복잡한 용접 작업 등에 효과적입니다. 이 로봇은 적재 하중 8㎏과 작업 반경 1,750㎜을 갖추고 있어, 긴팔을 이용해 보관함 등 깊은 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어 자동차 및 금속 가공 라인에서 연속적인 작업 흐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과학기술원연구팀은 모터와 감속기 등 주요 부품을 직접 설계하고, AI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하여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하체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은 사람과 유사한 신장 165㎝과 체중 75㎏을 갖추고 있으며, 평지에서 최대 시속 약 12㎞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30㎝ 높이의 계단이나 장애물을 넘고, 오리걸음이나 문워크 등 고난도 동작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하드웨어를 통합하고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으며, 향후 문고리 조작, 카트 밀기, 사다리 오르기 등 복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신체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글로벌타임스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과학기술대 연구팀은 자기유변학적 구동기를 기반으로 물건을 잡는 힘을 향상시킨 무동력 슈퍼 로봇손을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손은 5W의 전력을 투입하여 최대 1,046N의 잡는 힘을 낼 수 있으며, 착용한 사람의 악력을 41.8퍼센트 강화하고, 기존 모터에 비해 에너지 소비를 97.7퍼센트 절감할 수 있습니다. 향후 이 기술은 우주 탐사용 원격 로봇 팔과 조작기 개발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첨단로봇·제조) 로봇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 특허동향 분석
첨단로봇 제조 분야 로봇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주요 국적별 특허출원 현황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특허 출원 건수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국가는 한국과 중국입니다. 한국의 LG전자는 76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7.4%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국내 특허 비중은 59.4%로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중국의 경우, 텐센트와 바이두가 각각 0.9%와 0.8%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주요 출원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중국은 국가 전력망 공사 같은 대기업 및 연구기관이 활발히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LG전자 외에도 한국의 삼성전자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이 주요 출원인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