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로봇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덴마크 유니버셜 로봇은 자동차 산업 등 공간 제약이 심한 산업에 적합하도록 궤적 제어를 정밀화한 로봇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협동 로봇에는 새로운 모션 제어 기술인 모션플러스가 적용되어 정밀한 제어와 일관된 정확도를 보장하며, 복잡한 용접 작업 등에 효과적입니다. 이 로봇은 적재 하중 8㎏과 작업 반경 1,750㎜을 갖추고 있어, 긴팔을 이용해 보관함 등 깊은 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어 자동차 및 금속 가공 라인에서 연속적인 작업 흐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한국과학기술원연구팀은 모터와 감속기 등 주요 부품을 직접 설계하고, AI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하여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하체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은 사람과 유사한 신장 165㎝과 체중 75㎏을 갖추고 있으며, 평지에서 최대 시속 약 12㎞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30㎝ 높이의 계단이나 장애물을 넘고, 오리걸음이나 문워크 등 고난도 동작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하드웨어를 통합하고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으며, 향후 문고리 조작, 카트 밀기, 사다리 오르기 등 복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신체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글로벌타임스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과학기술대 연구팀은 자기유변학적 구동기를 기반으로 물건을 잡는 힘을 향상시킨 무동력 슈퍼 로봇손을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손은 5W의 전력을 투입하여 최대 1,046N의 잡는 힘을 낼 수 있으며, 착용한 사람의 악력을 41.8퍼센트 강화하고, 기존 모터에 비해 에너지 소비를 97.7퍼센트 절감할 수 있습니다. 향후 이 기술은 우주 탐사용 원격 로봇 팔과 조작기 개발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담센터(1544-808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