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이버보안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사이버보안 분야 이미지
다음은 사이버보안 분야입니다.
첫 번째, 로이터 보도 내용입니다. 유럽 주요 공항들인 독일 베를린, 벨기에 브뤼셀, 영국 런던 등은 최근 사이버 공격을 받아 자동 체크인 시스템이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대규모 지연과 결항 사태가 발생하여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이번 사태는 미국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의 항공사 체크인·탑승·수화물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뮤즈에 대한 해킹으로 발생하였으며, 유럽연합 사이버보안청는 제3자 랜섬웨어 공격으로 확인하고, 공격 배후를 조사 중에 있습니다. 이와 함께 주요 기간산업 전반에 대한 보안 체계를 재점검할 계획이 밝혀졌습니다.
두 번째, 전자신문 보도 내용입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KT와 롯데카드의 해킹 사건에 대해 청문회를 개최하며, 해당 기업의 대표, 정부 및 보안 전문가들을 출석시켜 정보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정보보호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청문회를 계기로 과방위는 각 기업의 부실 대응에 대해 비판하고, 국가 차원의 사이버 보안 강화 방안을 제언했습니다. 특히, 정보기관의 탐지 능력 강화를 비롯해 정보보호 인증제도의 강화, 통신 장비 보안 인증 제도 개선, 로그기록 보존 방안 강화를 논의했습니다.
세 번째, 지디넷 보도 내용입니다. 오아시스 시큐리티는 해킹 및 랜섬웨어 등 사이버 공격의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크웹 위협 정보 종합 제공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100여 종 이상의 다크웹 히든 서비스 스캔 정보, 랜섬웨어 협상 사이트, 다크웹 포럼에서 불법 거래되는 데이터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오아시스 시큐리티는 랜섬웨어 해킹 그룹, 금융 거래, 신용카드 판매, 위조지폐 판매, 해킹 포럼 등 주요 다크웹 인프라의 공공 IP 정보를 직접 확보하여,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사이버보안) 사이버 침해사고 추적기술 특허동향 분석
사이버보안 분야의 사이버 침해사고 추적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국적별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이 1,993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며 22.9퍼센트의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1,279건으로 8.3퍼센트의 증가율을 보였고, 영국은 113건으로 23.1퍼센트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한국은 112건으로 2.3퍼센트의 감소율을 기록했으며, 일본은 92건으로 7.4퍼센트의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기타 국가들은 310건으로 12.4퍼센트의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아이비엠이 45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며 점유율 1.2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엔체인은 42건, 구글은 39건을 기록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각각 35건, 32건으로 출원 건수를 보였습니다. 국내 주요 출원인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9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며 8.0퍼센트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한국인터넷진흥원은 7건으로 6.3퍼센트를 기록하였고, 서울과학기술대와 국방과학연구소는 각각 4건과 3건을 기록하였습니다. 유엠로직스와 행안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각각 3건을 출원하였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