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이버보안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사이버보안 분야 이미지
다음은 사이버보안 분야입니다.
첫 번째, 니혼게이자이 보도 내용입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일본 국회에서 지난 2025년 5월 능동적 사이버 방어 관련 법안이 가결된 이후 사이버 보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 사업자 신뢰성 확보 제도를 도입하려 하고 있습니다. 심사 기준은 사업자 거점 국가, 외국 소프트웨어 이용 실태, 주주와 임원 국적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여 신뢰할 만한 기업에 인증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두 번째, 아이티데일리 보도 내용입니다. 글로벌 보안 기업들의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 솔루션을 무력화하거나 우회하여 핵심 감시 기능을 제거하는 새로운 사이버 공격 기법이 등장했습니다. 공격 조직 크립토이십사라는 단체는 중국 개발자가 만든 오픈소스 도구를 개조한 악성 프로그램을 활용해 포티넷 시만텍 소포스 안랩 등 다수의 보안 기업 제품을 우회해 공격하고 있습니다. 주요 공격 양상은 비밀번호 수집과 다양한 백도어 악성코드 배포, 은밀한 데이터 유출 등으로 장기간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파일 암호화형 랜섬웨어와는 차별화됩니다.
세 번째, 블룸버그 보도 내용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비밀 유지 계약을 체결한 기업들에게 신규 보안 취약점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액티브 프로텍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국 기업 열두 곳 이상이 정보 유출과 관련된 정황이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중국의 국가적 지원을 받는 해커들이 이 정보를 악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전면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대사관은 사이버 보안은 모든 국가의 공통된 문제이며 해킹 활동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사이버보안) EDR 보안 기술 특허동향 분석
사이버보안 분야의 EDR 보안 기술 특허동향 분석 결과를 소개드립니다. 주요 국적별 시계열 특허출원은 2014년 6건에서 2016년 14건, 2017년 22건으로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39건, 2020년 33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2021년 36건으로 소폭 증가했고, 2022년 52건, 2023년에는 77건을 기록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출원인별 현황을 보면, 소포스가 48건으로 14.9퍼센트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포티넷 27건 8.4퍼센트, 마이크로소프트 25건 7.7퍼센트, 크라우드스트라이크 18건 5.6퍼센트, 팔로알토 네트웍스 15건 4.6퍼센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이글루시큐리티가 9건으로 24.3퍼센트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하몬소프트 7건 18.9퍼센트, 안랩 5건 13.5퍼센트, SK텔레콤 3건 8.1퍼센트, 엔피코어 3건 8.1퍼센트 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