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양자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양자 분야 이미지
다음은 양자 기술분야입니다.
첫 번째, 지디넷 보도 내용입니다. 경희대학교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2차원 바일 준금속에서 빛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원형 감광 기전 효과가 발생하는 원리를 실험적으로 입증했습니다. 바일 준금속은 전자가 마치 질량이 거의 없는 것처럼 빠르게 이동하며 자기장 세기와 방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금속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양자소자 기술의 핵심 원리 구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양자정보처리, 스핀 기반 광전소자, 고성능 에너지 변환장치 등 양자기술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두 번째, NHK 보도 내용입니다. 일본 후지쯔와 이화학연구소가 단일 칩 기반 세계 최고 수준의 큐비트 집적도를 구현한 초전도 기반 256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기존의 64큐비트 시스템과 동일한 크기의 냉동기에 256큐비트가 구현되어, 초전도 양자컴퓨터 작동 환경인 초고진공과 극저온 등을 유지하면서 집적도를 4배 향상시켰습니다. 256큐비트 시스템은 후지쯔가 운영 중인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플랫폼에 통합되어 기업 및 연구기관의 실제 응용 연구에 바로 투입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1,024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세 번째, 네이처 보도 내용입니다. 일본 도시바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팀이 독일에서 상용 광섬유 통신망을 이용해 양자 정보를 254킬로미터 거리까지 전송하는 양자통신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실제 환경에서 양자 통신을 구현한 사례로, 참고로 중국의 장거리 양자통신은 위성을 활용한 방식입니다. 연구팀은 트윈 필드 양자키분배 방식을 이용해 기존 광섬유 기반의 양자통신이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져 장거리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문제를 극복했습니다. 트윈 필드 양자키분배는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중계기를 두고 각각 신호를 보내 중계기에서 정보를 합치는 방식입니다. 또한 영하 270도에서 작동하는 빛 감지 센서를 영하 30도에서 작동하는 반도체 센서로 대체하여 양자통신 장비 가격도 크게 낮출 것으로 기대됩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양자) 양자통신 기술 특허동향 분석
양자 분야의 양자통신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3년 104건에서 2022년 867건으로 꾸준하게 증가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58%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미국 16%, 한국 8%, 일본 5%, 영국 2%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전 세계를 기준으로 중국의 퀀텀씨텍이 239건의 특허출원과 8.8%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일본의 도시바, 중국의 베이징 우전대, 중국의 화웨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4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27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