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디스플레이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디스플레이 분야 이미지
다음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신화통신 보도 내용입니다. 중국 최대 가전업체 TCL이 자회사 CSOT를 통해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8.5세대 LCD 라인을 108억 위안, 약 2조 300억 원에 공식 인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CSOT는 LG디스플레이 광저우 패널 공장 및 모듈 공장 지분에 대한 거래 승인과 상업 등록 절차를 완료하고, 공장 명칭을 'T11'로 변경해 가동할 예정입니다. 이번 인수로 CSOT는 LCD 생산 라인을 6세대 2개, 8.5세대 4개, 8.6세대 1개, 10.5세대 2개를 소유하게 되어 글로벌 대형 LCD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두 번째, 연합뉴스 보도 내용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를 통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약 3,500억 원을 투자하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사업 추진단'을 설치했습니다. 추진단은 올해부터 약 8년간 운영되며, 무기발광 핵심 부품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자립형 공급망 구축을 위해 확장현실, 워치 등 소형제품 기술을 먼저 확보한다는 전략입니다. 또한 기존 OLED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박막 고신뢰 소자구조 구현, 차세대 대면적 플렉서블 패널 설계, 고부가 OLED 응용기술 등 초격차 기술 확보도 병행 지원할 예정입니다.
세 번째, 정책브리핑 보도 내용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충남 천안·아산 디스플레이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에 국내 최초 OLED 소재·부품·장비 실증 허브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를 개소했습니다. 혁신공정센터는 실제 OLED 생산라인과 동일한 실증 환경을 구축하고 OLED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에 제공해 연구개발 및 제조 전 공정에 양산 설비를 활용한 실증 테스트를 지원합니다. 산업부와 충남도가 국책사업으로 2019년부터 7년 동안 국비 1,049억 원과 지방비 549억 원을 투입해 조성했으며, OLED 공정 실증과 평가를 위한 장비 65대도 배치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 특허동향 분석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의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3년 1,012건에서 2022년 3,101건으로 꾸준하게 증가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34%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한국 25%, 미국 13%, 일본 12%, 대만 8%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전 세계를 기준으로 한국의 삼성디스플레이가 1,697건의 특허출원과 8.5%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중국의 티씨엘, 한국의 LG디스플레이, 중국의 비오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1,69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LG디스플레이가 1,103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