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첨단바이오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트위터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첨단바이오 분야 이미지
다음은 첨단바이오 기술 분야입니다.
첫 번째, 이코노믹데일리 보도 내용입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서울에서 개최된 개발자 워크숍에서 의료용 챗GPT 개발을 예고하고, 하반기부터 생성형 의료 AI 보조 플랫폼 서비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암 환자 진단 및 진료를 돕기 위한 생성형 AI 플랫폼 서비스를 위해 미국의 건강보험 관련법 검토 등 다각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올해 내로 의학적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생성형 AI 메드팜2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두 번째, 카이스트 발표 내용입니다.
PVC 생산 세계 1위 기업인 대만 포모사 그룹과 카이스트가 향후 5년간 약 180억 원을 투자하여 바이오 의료 연구센터를 건설하고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카이스트 홀딩스를 통해 포모사 그룹과 50:50 지분 구조의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며, 카이스트는 지식재산권을 제공하고 포모사 그룹은 자금을 투자하게 됩니다. 양 기관은 협업을 통해 2030년까지 10종 이상의 난치성 뇌질환 치료제를 발굴하고, 2,500억 원 규모의 인프라 및 지식재산권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세 번째, 농촌진흥청 발표 내용입니다.
농촌진흥청 산하 국립농업과학원은 생명과학에 공학적 설계를 결합한 합성생물학 기술을 활용해 담뱃잎에서 혈관 강화제인 디오스민과 항산화 소재인 크리소에리올을 세계 최초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진은 식물세포에 유용한 유전자를 이식하는 아그로박테리움법을 이용한 대사경로 재설계 및 다중 유전자 조립 기술을 적용해 담뱃잎에서 유용한 물질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첨단바이오) 의료용 생성형 AI 기술 특허동향 분석
첨단바이오 분야의 의료용 생성형 AI 기술의 2013년에서 2022년 사이 특허출원 동향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원 동향의 경우, 2013년에서 2017년까지는 특허 출원이 없었으나, 2018년 4건에서 2022년 84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국가는 전체의 40%를 차지한 중국이며, 이어 한국 30%, 미국 12%, 인도 6%, 일본 5% 순입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은 전 세계를 기준으로 중국의 텐센트가 5건의 특허출원과 2.4%의 점유율로 1순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 미국의 아이비엠, 일본의 후지쯔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는 이피아이랩이 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씨앤에이아이가 2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