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첨단바이오

페이스북 공유하기 새창 열림 X 공유하기 새창 열림 밴드 공유하기 새창 열림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새창 열림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첨단바이오 분야 이미지
다음으로 첨단 바이오 분야 동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로이터 보도 내용입니다. 독일 큐어백과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mRNA 백신 특허 분쟁을 합의하여 로열티를 확보했습니다.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텍과의 mRNA 백신 특허 분쟁에 대해 합의하면서 약 1조 원 규모의 금액과 미국 내 판매되는 mRNA 백신 매출에 대한 로열티를 확보했습니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텍은 큐어백과 라이선스 파트너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 현금과 로열티를 지급하는 대신 미국 내 mRNA 기반 백신 제조와 수입, 판매에 대한 비독점 라이선스를 획득했습니다. 이번 합의로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큐어백은 각각 3천7백만 달러를 수령하고,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미국 내 해당 백신 매출에 대해 1퍼센트의 수익을 배분받으며, 큐어백도 미국 내 제품 판매 수익 일부를 수령하게 됩니다.
두 번째, 동아사이언스 보도 내용입니다. 영국 바이오뱅크는 전장 유전체 분석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바이오빅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바이오뱅크는 약 49만 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대상으로 전체 유전체를 읽는 분석을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참여자 유전체 전체를 분석한 결과 약 15억 개의 유전 변이를 발견했으며, 이는 기존 대비 18배에서 40배 많은 정보를 확보한 것으로 향후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입니다.
세 번째, 동아사이언스 보도 내용입니다. 서울대학교병원과 서울대학교는 난청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치료법을 개발했습니다. 동아시아에서 빈도가 높은 유전성 난청 돌연변이에 대해 자체 개발한 유전자 가위를 적용하여 전임상 수준에서 맞춤형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연구팀은 유전성 난청 원인 MPZL2 유전자 돌연변이를 보유한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개발하고, 유전자 가위를 변형한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로 전달하여 청력과 청각세포 회복을 확인했습니다. 달팽이관 내 한 번의 주사로 치료군에서는 전 주파수 대역에서 20에서 30데시벨 수준의 청력 향상이 확인되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최신호에 게재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첨단바이오) 바이오 빅데이터 생산·분석 플랫폼 기술 특허동향 분석
첨단 바이오 분야, 바이오 빅데이터 생산 분석 플랫폼 기술 특허 동향입니다. 먼저, 주요 국적별 시계열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2014년 184건에서 2018년 498건, 2020년 755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2년 835건, 2023년에는 886건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출원인별 특허출원 현황을 보면 전 세계 기준으로 미국의 일루미나가 145건으로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가든트헬스 106건, 캘리포니아 대학교 80건, 필립스 76건, 중국과학원이 67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출원인별 현황은 지씨지놈이 55건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성광의료재단 32건, 씨젠 16건, 스파이더코어 8건, 테라젠바이오 7건 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큰 이미지로 보기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