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카드뉴스(상세)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밴드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스마트 품질관리기술 특허출원한국이 세계1위
작성자
이정희
연락처
작성일
2023-12-07
어바웃특허 스마트 품질관리기술 특허출원 한국이 세계1위 특허청 스마트 품질관리란 제조업에서의 각종 검사공정에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적용해 물체의 크기, 패턴, 문자,형태 등을 신속·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오늘은 전 세계 중 한국이 1위를 차지한AI 활용 스마트 품질관리 특허 동향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스마트 품질관리 특허출원,최근 10년 사이 44배 성장 스마트 품질관리 기술분야의 전 세계 특허출원은 ‘11년에 6건에 불과했으나, 연평균 52.3%씩 증가해 ‘20년에는 44배인 264건에 이르렀습니다.‘16년 이후 인공지능기술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출원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며,출원인은 한국이 25.4%(202건)로 가장 많았고,중국이 18%(143건)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 삼성전자 2위 대 · 중소기업 출원비중 높음주요 출원인으로는 미국의 KLA(4.03%, 32건)가 최다 출원인으로 나타났으며,삼성전자(3.14%, 25건)가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한국 출원인으로는 LG전자(1.26%, 10건), 고영테크놀러지(0.88%, 7건), 라온피플 및 현대자동차(각 0.75%, 6건) 등이 다출원인에 올라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제조업 분야에서 솔루션 분야까지 다양한 분야의기업들이 포진해 있어 스마트 품질관리 기술 강국의 면모를 보였습니다. 출원인 분류별 동향기업 주도 / 공공·대학·개인 보조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품질관리 기술 특허의 대부분(82.3%)은기업이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경우는 기업의 비중이 다소 낮고(66.8%),공공 분야(13.4%), 개인(10.4%) 및 대학(9.4%)의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기술 분류별 동향국가별 세부 기술분야 차이기술 분류별로 살펴보면,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술에 대한출원이 가장 많았고(29.9%), 중국과 일본이 중점적으로 개발중입니다. 독일의 경우 제어 시스템 분야에 특별히 연구개발을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국의 경우에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연구개발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허청은 성장 단계에 있는 스마트 품질 관리 기술 분야에서스타트5업들이 핵심 기술 개발에 도전할 수 있도록관련분석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습니다!
미리보기 로딩 이미지
첨부파일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귀하는 이미 만족도 조사에 응하셨습니다.